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문제 양상 -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Japanese colonial era Aspects of Labor Problems in Science fiction and play - focusing on 『Utopia』 by Japanese writer Jeong Yeon-gyu and 『Artificial Workers』 by Park Young-he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1.06
31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문제 양상 -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8호 / 99 ~ 129페이지
    · 저자명 : 엄학준, 모희준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자의 양상에 대해서 정연규의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연구다. 노동자 소설은 일제강점기 프로문학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등장하였으며 1920년대부터 시작하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만 식민지 시기의 노동소설 연구와는 반대로 과학소설은 아직 연구가 많이 부족한 편이다. 이는 과학소설 자체에 대한 연구가 적은 것도 있지만 당시에 창작된 과학소설의 수가 적은 것도 한 가지 이유로 보인다.
    과학소설을 통해 노동자의 모습과 노동문제의 양상을 살펴야 하는 이유는 과학소설이 가지는 장르적 특징에 있다. 과학소설은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소설보다 작가의 상상력이 더 많이 첨가된다. 이는 곧 작가가 가진 이상이 무엇인지를 살피기에 용이한 장르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노동소설은 현재를 배경으로 하며 노동자들의 고난을 그려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노동소설은 노동자들의 현실이 아닌 노동자들의 이상향을 그려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다. 『이상촌』과 『인조노동자』는 각각 1921년과 1925년에 발표된 과학소설과 희곡으로, 미래라는 배경 속에서 노동자들의 모습을 그려낸 작품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 작품 모두 과학소설이라는 장르 내에서 어느 정도 입지가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정연규의 『이상촌』은 조선 최초의 과학소설이라는 점에서, 박영희의 『인조노동자』는 체코의 과학소설 작가이자 ‘로봇’이라는 단어의 창시자인 카렐 차펙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두 작품 모두 자본주의 사회를 노동자들의 지옥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이는 정연규와 박영희가 사회주의 계열의 작가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동자들의 지옥인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해결책으로 두 작가 모두 자본주의 체제의 전복과 정부의 무용을 주장하고 있었다. 무정부주의에 대해선 『이상촌』의 경우 정부나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를, 『인조노동자』의 경우 정부의 무능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무정부 사회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단, 이들이 제시한 무정부사회는 사회주의가 전 인류의 기본 관념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이는 전 인류가 사회주의 의식을 가지고 그 안에서 자발적으로 노동과 생활을 이어간다면 정부는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노동을 신성시하는 모습도 두 작품의 공통점이었는데, 이 또한 자발적인 노동만을 신성한 것으로 여긴다는 특징이 있었다. 추가로 두 작품 모두 노동을 신성한 것으로 여기는 것과 동시에 귀찮아하는 심리가 드러난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상촌』은 노동을 신성한 것이라 말하며 모두가 자발적으로 노동하는 사회를 그리고 있었지만 이들의 실제 노동시간은 하루 1시간 정도이며 대부분의 잉여시간을 운동으로 소비한다는 점에서 모순을 보였다. 『인조노동자』는 노동을 신성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별개로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 알퀴스트를 감금하고 강제 노동을 시킨다는 점에서 인조인들의 혁명은 사회주의 혁명이라기보단 인류와 인조인의 계급적 반전을 꾀하는 체제 전복에 가까웠다. 인간을 감금한 채 노동을 강요하는 인조인들의 모습은 노동을 신성시하는 심리와 다소 거리가 먼 행동이다.
    위의 결과를 통해 정연규와 박영희는 노동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전복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노동 자체를 신성시하지만 이는 자발적인 노동에 한해서이며, 노동을 신성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과도한 노동에 대해서 반발하는 심리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정연규와 박영희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과학소설과 희곡을 이용했다. 유토피아는 그 의미대로 실재하지 않는 이상향을 뜻한다. 현재를 배경으로 하는 일반적인 노동소설로는 노동자들의 ‘현실’을 묘사할 순 있을지언정 노동자들의 ‘이상’을 표현하기엔 적절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두 작가는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과학소설 장르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Jeong Yeon-gyu's 『Utopia』 and Park Young-hee's adaptation drama 『Artificial Workers』 on the aspects of workers in Japanese colonial era science fiction and play. Most of the scientific no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translated and adaptation, not pure creations, and the fact that translation and adaptation were continuously conducted suggests that there was a demand for scientific novels. So,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appearance of workers and labor problems in science fiction.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at the appearance of workers and aspects of labor problems through science fiction lies i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cience fiction. Science fiction is set in the future, so the author's imagination is added more than ordinary novels. Most labor novels are set in the present and focus on portraying the hardships of the workers.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labor novels set in the future portray the ideals of workers, not reality.
    The works selected in this study are 『Utopia』 a novel by Japanese writer Jeong Yeon-kyu, and Park Young-hee's translated play 『Artificial Workers』 Utopia and Artificial Workers are science novels published in 1921 and 1925, respectively,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depicts workers in the background of the future. Both works also have some position in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Jeong Yeon-gyu's 『Utopia』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cientific novel in Joseon, and Park Young-hee's 『Artificial Workers』 is based on the work of Karel Chapek, a Czech science fiction writer and founder of the word ‘robot’.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works have an inherent sense that workers can solve problems only through the overthrow of a capitalist society. Labour is sacred, but this was limited to voluntary labour, and apart from this, the psychology of considering labor as a nuisance could also be found.
    The sanctity of labor was also a common feature of the two works, which also characterized only voluntary labor as sacred. In addition, both works were characterized by the psychology of considering labor as sacred and annoying at the same time. Utopia was drawing a society where everyone voluntarily worked, calling labor sacred, but it was contradictory in that their actual working hours were about an hour a day and most of their surplus time was spent exercising. Apart from recognizing labor as sacred, the revolution of the artificial people was more of an overthrow of the system that sought a class reversal between mankind and the artificial people, given that Alquist, the last survivor of mankind, was imprisoned and forced to work.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people forcing labor while imprisoning humans is somewhat far from the psychology of sacred labor.
    From the results above, we could see that Jeong Yeon-gyu and Park Young-hee were suggesting the overthrow of capitalist society as a solution to the labor problem. Although labor itself is sacred, it is limited to voluntary labor, and apart from sanctifying labor, a psychology that regards labor as a nuisance can also be found.
    Jeong Yeon-gyu and Park Young-hee used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as a means to create a socialist utopia. Utopia means utopia that does not exist as it means. Labor fiction set in the present can portray the ‘real' of workers,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express the ‘ideal' of workers. For this reason, the two writers seem to have used the science fiction genre set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