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 마스타로(岡村増太郎)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Okamura Masutaro’s Recognition on Dokdo in his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of the Meiji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 마스타로(岡村増太郎)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24호 / 7 ~ 46페이지
    · 저자명 : 한철호

    초록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가 집필한 『新撰地誌』⋅『明治地誌』등은 문부성의 검정을받아 널리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소학교 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그는 일본영토의 확장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리교과서에 일본영토의 경계와 범주를 정확히 서술하거나 그려놓았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오카무라가 지리교과서에서 독도의 존재를 알고 있음에도 독도를 조선영토로 인식했다는 사실을 분석하였다.
    오카무라의 일본영토⋅오키 인식은 난마의 『小學地誌』를 저본으로 『小學地誌字引』을집필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문부성 발행의 『小學地誌』에는 독도가 거론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난마가 『內地誌略』에서 竹島⋅松島를 소개하면서도, 오키의 관할범위를 북위 약 35도 50분여∼36도 30분으로 명기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울릉도⋅독도를 일본영토로 간주하지 않은 난마의 인식은 오카무라에게 수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오카무라는 『新撰地誌』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존재를 알면서도 두 섬을 조선의 영토로인식하였다. 조선과 중국 등 주변국이 표시된 「日本總圖」에는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울릉도와 독도로 여겨지는 두 섬은 채색되지 않은 채 해양 영역을 표시한 듯한 빗금이 조선 영역으로 그어져 있다. 일본의 강역을 표시한 「日本全圖」에는 두 섬이 그려지지 않고, 「山陰山陽及南海道之圖」에는 오키까지 표시되었으며, 「亞細亞」에 그어진 일본의 국경선에는 오키가 포함된 반면 독도가 분명하게 제외되었다. 이러한 「亞細亞」의 일본 국경선표시는 현재까지 알려진 ‘문부성검정제’를 받은 지리교과서들 중 가장 시기가 앞선 것으로 판단된다.
    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오카무라의 인식은 『新撰地誌』이후에 집필된 『小學校用地誌』⋅ 『尋常科用日本地理』⋅『明治地誌』⋅『高等小學新地理』⋅『日本地理新問答』에도 견지되었다. 이들 지리교과서의 일본⋅산인도 위치에는 일본 국경의 극단에 있는 섬들과 오키만열거되었을 뿐 독도는 서술되지 않았다. 일본의 모든 영토가 표시된 「大日本全圖」⋅「府縣 明細圖」⋅「大日本帝國全圖」⋅「日本國全圖」등에는 독도가 빠졌고, 조선 등 주변국의 위치가 표시된 「日本諸島及隣國之地圖」⋅日本全形圖」등에도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 동해 안쪽의 두 섬은 채색되지 않거나 그려있지 않다. 「山陰道及山陽道地圖」등에는 오키까지만 그려져 있다.
    『新撰地誌』⋅『明治地誌』등은 공식적으로 검정을 획득했을 뿐 아니라 당시 대표적인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따라서 독도를 조선영토로 간주해 일본영토에서 제외한 오카무라의 지리교과서는 문부성을 비롯한 일본정부의 차원에서도 독도를 일본영토가 아니라 조선영토로 인정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영어초록

    Okamura Masutaro (岡村増太郎) wrote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in Meiji period. His geographical textbooks were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particular, he accurately reflected Japan’s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s in his geography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Okamura’s recognition on Dokdo in his geography textbooks.
    The first Japanese geography textbook written by Okamura in Meiji period is Shinsen-chishi (『新撰地誌』). In his Shinsen-chishi, there are some proofs to confirm the fact that he regarded Dokdo and Ulleungdo as a part of Joseon’s territory, not Japanese territory, although he perceived the existence of Dokdo and Ulleungdo. Japanese territory was colored, but Dokdo and Ulleungdo were uncolored and the oblique line was drawn on Joseon on Nihon-sozu (「日本總圖 」), two islands were not drawn on Nihon-zenzu (「日本全圖」), only Oki island was marked on Sanin-Sanyo-oyobi-Nankaido-no-zu (「山陰山陽及南海道之圖 」). Moreover, Japanese border was clearly excluded from Dokdo and Ulleungdo on アジア(「亞細亞」) as well.
    Okamura’s recognition on that Dokdo being under the Joseon was continued in his later geography textbooks. Dokdo was not described in the location of Japan and Saindo of his geography textbooks. In the geography textbooks, Dokdo and Ulleungdo were not drawn on the Dai-Nihon-zenzu (「大日本全圖」)⋅Huken-meisai-zu ([府縣明細圖」) etc., Japanese territory was colored, but Dokdo and Ulleungdo were uncolored or were excluded on the Nihonshoto-oyobi-ringoku-no-chizu (「日本諸島及隣國之地圖」)⋅Nihonzenkei-zu (「日本全形圖」) etc., and Dokdo was not drawn on the Sanin-Sanyo-oyobi-Nankaido-no-zu (「山陰道及山陽道地圖」) etc..
    Okamura’s geography textbooks were authoriz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bout that time. This fact supports to show that not Okamura but also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recognized Ulleungdo and Dokdo as Japanese territory before February 1905.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