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주 선비촌의 설립과정과 활용실태를 통해 본 가치와 전망 (A Study on the Values and Prospects of Yeongju Seonbichon through Its Establishment Process and Us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12
34P 미리보기
영주 선비촌의 설립과정과 활용실태를 통해 본 가치와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31호 / 189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준일

    초록

    이 글에서는 선비촌이 설립된 과정을 살펴보고 전시 구성 및 활용 실태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무형문화인 선비문화를 어떻게 구성하여 관광자원화 하였는지에 대해 글쓴이의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선비촌이 문화관광자원으로서 가지는 가치와 전망을 살펴보았다.
    선비촌은 관주도로 설립되어 2004년 개촌하였으며 지역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선비촌 설립을 위한 전통가옥은 영주시에 산재한 고택 중 선비촌의 주제에 맞는 고택을 선별하여 실물 그대로 본떠 건축한 것이다. 여기에 선비촌이라는 하나의 마을을 재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정사, 물레방아, 디딜방아간, 대장간 등을 더하고 소수서원의 강학당을 본뜬 교육시설과 저잣거리라는 휴식공간을 더해 문화관광지를 이루고 있다. 또한 곳곳에 방문객이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선비촌의 가옥은 모형이므로 하회마을이나 양동마을처럼 거주자가 없어 어느 곳이든 들어가 보고 만져볼 수 있으므로 눈으로만 보는 것 보다 전시효과가 크다. 이러한 전시방식은 관람하는 이에게 다양한 효과를 주고 있다.
    재현된 가옥은 단순한 나열에 그치지 않고 그 집이 가진 건축적 특성, 살았던 사람의 품성, 규모, 모양새, 사용하고 있는 가구의 특성 등에 따라 선비문화와 관련된 주제의 이야기를 관람객에게 들려준다. 이를 통해 단순한 가옥전시에서 벗어나 관람객이 가옥과 그 안의 전시물을 통해 선비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무형문화인 선비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며 숙박체험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체험객들이 체험활동에 참가하려는 동기를 제공하며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 그리고 선비촌은 하나의 유적지나 문화시설로는 다 보여줄 수 없는 부분을 서로 보완하고 있다. 소수서원, 소수박물관, 선비촌은 어느 쪽에서 입장하더라도 모든 공간을 다 볼 수 있도록 유기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다. 과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소수서원을 둘러보고, 소수박물관에서 지역의 역사, 문화, 인물에 관한 전시를 관람한 후 전통마을의 형태를 갖춘 선비촌에서 선비문화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 것은 재미와 더불어 교육적인 효과까지 있다는 점에서 방문객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 설립된 선비문화수련원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선비문화 체험의 질을 높이고 있다.
    선비촌은 선비문화를 전시 및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체험활동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숙박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크게 선비문화 전시공간으로서의 역할과 한옥을 활용한 문화체험숙박지로서의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선비촌은 선비의 생활상을 보여줌으로써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알림과 동시에 선비의 정신문화를 통해 인의예지 정신이 무너져가는 현대인의 문화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며, 선비문화 교육프로그램과 문화체험숙박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체험공간을 제공한다.
    이처럼 선비촌은 문화체험을 하는 데 적합한 기반시설과 체험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콘텐츠 같은 추가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편의 제공, 가옥의 유지보수 등이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자원으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며 선비촌이 운영하고 있는 숙박체험 프로그램은 국내 관광객뿐만 아니라 외래 관광객에게 전통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좋은 자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차후 선비문화를 활용한 OSMU를 통해 축제, 공연, 드라마와 영화, 음식, 문화유적답사, 교육콘텐츠, 캐릭터 등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관광객이 몇 번을 다시 찾아도 즐길 거리가 끊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주변지역과의 연계관광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eonbichon and its exhibition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investigator’ field survey data on how they organized and turned the Seonbi culture,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to a tourist resource, the study examined the values and prospects of Seonbichon as a cultural and tourist resource.
    Seonbichon was established under the initiative of the concerned national agencies and opened in 2004 to build local identity. For the village, traditional Korean houses were copied on the selected old houses scattered around in Yeongju City that fitted the theme of the village without any dimension changes. Added to those houses were the pavilion, water mill, treadmill, and smithy to reproduce a village called Seonbichon. They were complemented by an educational facility that mimicked the Ganghakdang of Sosuseowon and a resting place called the Jeojatgeori to create a cultural and tourist destination. Programs for visitors to experience were deployed all around the village to put the space to efficient use. Since the houses in the village are models, it is allowed for visitors to go into them and touch anything unlike Hahoi and Yangdong Villages where people are actually living. As a result, Seonbichon generates more exhibition effects than those which only allow for sightseeing with eyes. Its exhibition approach has various effects on the viewers.
    The reproduced houses do not just stand in a row; they tell stories on topics related to the Seonbi culture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features, the personality of residents, size, shape, and furniture characteristics to help visitors to understand the Seonbi culture through the houses and their artifacts. It was intended to have visitors experience the intangible Seonbi culture, run an accommodation and experience program more effectively, and motivate visitors to participate in experiential activities for immersion.
    The Sosuseowon, Sosu Museum and Seonbichon complement one another for the elements they cannot shot individually as a relic or cultural facility. The whole area was designed to allow visitors to take a look around Sosuseowon whose old conditions are kept intact, view the exhibitions on the local history, culture, and figures at Sosu Museum, and experience the Seonbi culture at Seonbichon equipped with the traditional village, thus receiving great responses from visitors for its fun and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the recently added Seonbimunhwasuryoenwon enhances the quality of Seonbi culture experience with its educational programs.
    Seonbichon offers a place to exhibit and experience the Seonbi culture and, most importantly, runs an accommodation and experience program. It helps visitors reflect on the modern culture, in which the spirit of perfect virtue, righteousness, courtesy, and knowledge is collapsing, through the culture of Seonbi spirit by demonstrating the life aspects of Seonbi and promoting the unique local culture and provides them with a cultural experience space to participate in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Seonbi culture and a cultural accommodation and experience program.
    With additional program developments such as digital content, further convenience, and ongoing housing maintenance, Seonbichon will have values as a sustainable cultural and tourist resource and be able to present its accommodation and experience program as great assets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foreign tourists as well as domestic ones. In future, they need to develop festivals, performances, dramas, movies, food, cultural relic exploration, educational content, and characters through Seonbi culture-based OSMU to increase its value added and turn casual visitors into happy regular visitors to the village via an ongoing series of things to see and enjoy. In addition, they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tourism in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