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사정 <촉잔도권(蜀棧圖卷)>의 시각 모드 연구 (Study on the visual mode of Sim Sajeong’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2.04
23P 미리보기
심사정 &lt;촉잔도권(蜀棧圖卷)&gt;의 시각 모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3권 / 1호 / 83 ~ 105페이지
    · 저자명 : 조원봄

    초록

    시각 모드는 세상을 보는 방식으로 창작자와 감상자의 시각적 느낌과 예술품의 내용, 형 식, 의미를 결정한다. 본 논문은 <촉잔도권>의 시각 패턴, 형식, 시각 논리, 감상 체험과 시야 등 여러 방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그의 "회화"의 풍격 변화에 많은 주의를 기울였지만, 실제로는 심사정 말기 풍격의 대표작인 <촉잔도권>이 형식적인 풍격에서도 독특한 점이 있었는데, 특히 중국 쓰촨(四川)성의 풍경을 묘사한 장권화(長卷畫)로서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것이다. 본문은 <촉잔도권>의 형제·형식·시각 논리·관람 체험·시야 등을 시발점으로 하고 하인리히 뵐플린 (Heinrich Wolfflin) 미술사 관점의 'five pairs of concepts', '비주얼 모드 visual mode' 및 존 버거(John Berger)의 'ways of seeing' 등 이론과 방법으로 이런 '장권산수화'의 시각 패턴을 탐구하도록 한다. 본 논문은 <촉잔도권>의 시각적 모드를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장권화로인 <촉잔도권>의 형제를 분석해 보고 '관상점(觀賞點)'으로 삼은 뒤에 같은 "촉로"를 묘사한 심주의 <촉도난도축>과 구영의 <검각도>, 현수막 장권화로 그린 이인문(李寅文)의 <강산무진도>와 함께 촉로를 처음 묘사한 전 이소도의 <명황행촉도>를 비교한 "시야" 아래 진행됐으며 뵐플린의 이론을 철저히 사용하다가 결국 이당(李唐)의 "촉잔도(蜀棧圖)"를 참고로 그린 현수막 장권화인 '촉잔도권'의 이유를 끌어냈다.

    영어초록

    Visual mode determines the visual perception of creators and viewers, as well as the content, form and meaning of artworks by observing the world.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visual mode, form, visual logic, appreciation experience and vision of <The rugged road to Shu>. In fact,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Sim Sajeong s late style, <The rugged road to Shu> also has its own unique style, especially as a long scroll describing the landscape of Sichuan, Chin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ased on the 'Five Pairs of Concepts' of Heinrich Wolfflin's art history, this paper begins with the form, form, visual logic, viewing experience and vision of <The rugged road to Shu>. "Visual Mode" and John Berger's "Ways of Seeing" and other theories and methods to discuss the "long scroll landscape painting" visual mode.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rugged road to Shu> as a "view point", and then discussed the conten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gain with Shen Zhou's <Hard is the Road to Shu>, Qiu Ying's <Sword Pavilion Diagram> , also as a banner long scroll painting of Lee Inmoon's <Gangsan Munjindo>, and the painting of <the drawing Ming king gracious presence Shu>, which originally described the Shu Road. The thorough application of Wolfflin's theory finally leads to the reason for drawing the banner form of <The rugged road to Shu> volume with reference to Li Tang's "Shu stack pi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