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세계적 베스트셀러’ <엉클 톰스 캐빈>의 수용과 서사 체험 (Uncle Tom’s Cabin in colonial Korea, the Reception of Global Bestseller in the Early 20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4.04
28P 미리보기
20세기 초 ‘세계적 베스트셀러’ &lt;엉클 톰스 캐빈&gt;의 수용과 서사 체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2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미지

    초록

    미국 여성 작가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엉클 톰스 캐빈>(1852)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각각 『검둥의 설움』(1913), 『黑奴籲天錄(흑노유천록)』(1901), 『인자박애의 이야기(仁慈博愛の話)』(1903) 등 다른 제목으로 20세기 초에 동아시아에 소개되었고 번역 텍스트 비교의 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국에서 남북 전쟁 이전 노예들의 삶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다룬 작품인 <엉클 톰스 캐빈>이 반세기 이후 동아시아에 수용된 현상을 텍스트 간 번역이라는 관점을 넘어 문학과 문화의 글로벌한 접속이라는 맥락에서 다룬 것이다. 이광수를 비롯한 다수의 문인들이 문학에서 ‘글의 힘’과 ‘이념과 기교의 조화’라는 가치를 설파하는 데 이 작품을 동원한 데 반해, 당대의 수용의 감각 가운데는 ‘세계적 베스트셀러’에 대한 관심 또한 컸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엉클 톰스 캐빈>의 수많은 판본의 역사가 존재하며 특히 19세기 말 출판 마케팅 경쟁과 세계화의 전략이 본격화한 것과 동궤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글로벌한 현상이라는 맥락은 1920년대 말 할리우드 장편영화 <엉클 톰스 캐빈>이 조선에서도 개봉하면서 강화되고 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바로 거대 자본 영화의 상업성과 영화의 테크닉에 대한 관심이다. 영화의 홍보와 감상 양면에서 모성애가 유독 강조되는 것 역시 영화라는 대중적인 호소력이 큰 텍스트가 원작의 이해와 수용에 간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엉클 톰스 캐빈>은 20세기 초 서적과 영화의 글로벌한 유통이 식민지 조선에 미친 파급력과 수용의 맥락을 가늠해볼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번역 텍스트를 다양한 역관계 속에서 만들어지고 작동하는 문화 현상으로 고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Uncle Tom’s Cabin(1852), written by Harriet Beecher Stowe, was introduced to East Asi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under different titles and has been studi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xtuality. This paper examines the reception of Uncle Tom’s Cabin in the context of global phenomenon related to the publication history and literary experience. While many literary figures, including Lee Kwang- soo, used the work to preach the value of “the power of the written word”, the sense of acceptance at the time was also characterized by an interest in ‘global bestseller’. This can be examined in the history of numerous editions of Uncle Tom’s Cabin in the United State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publisher’s marketing strateg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global context was reinforced and entered a new phase when the Hollywood feature film “Uncle Tom’s Cabin” was released in Korea in the late 1920s. The commercialization of big capital films and the interest in cinematic techniques are the two main factors. The emphasis on maternal love in the film also shows that the popularity of the film interferes with the acceptance of the original text. Uncle Tom’s Cabin is an example of the global circulation of books and films in colonial Kore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of cultural phenomena with dynamic literary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