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 예학(禮學)의 시선으로 본 고려 초 지배층의 효 사상 고찰 (A Study on the Hyo(孝)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in the Early Years of Goryeo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Rit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2.03
37P 미리보기
유교 예학(禮學)의 시선으로 본 고려 초 지배층의 효 사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5권 / 1호 / 43 ~ 79페이지
    · 저자명 : 서정화

    초록

    본 논문은 ‘예학적 시선으로 보았을 때, 유교의 본원적인 효 사상을 미계몽 상태였던 일반 민중에게까지 포괄적이면서도 똑같은 잣대로 적용해 판단할 수 있는 것일까’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에 깔고 진행한 탐구이다. 이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논할 수 있는 유학 사상에서의 효의 정의는, ‘부모에 대해 엄숙함[敬]으로써 하는 마음과 자세를 바탕으로, 부모가 해오신 훌륭한 일을 잘 계승함 또는 잘 계승한 자’이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에 의해 유학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도(道)’‘덕(德)’적 완전체를 지향하며 수양하는 길을 걸어간 그 부모를 계승한다는 관념은 고려 시대 일반인들의 관념이었다고 보기 어렵다.
    고려의 유교적 효 사상에 대한 섬세한 논의 진행을 위해 한·당 이전의 유학경서를 폭넓게 참고하였다. 고려 위정자들이 ‘나라를 잘 다스림의 근원’으로 삼은 것은 유학이었다. 고려 초 성종의 교령에서는, 나라와 가정을 잘 다스림에는 근본을 가장 먼저 힘써야 하는데, 근본을 힘씀에 효 만한 것이 없다고 선언한 바 있다.
    원시 유학에서는 멸망한 나라를 보존시키고 끊어진 공실을 이어가게 해주는 ‘존망 계절(存亡繼絶)’ 관념을 왕도 사상 속에 녹여내고 있다. 태조 왕건이 멸망한 발해의 후손에게 해준 시혜는 바로 그것의 실천이라는 차원에서 논의된다. 초조와 선조에 대한 제례는 효손(孝孫)으로서의 계승 관념의 하나이다.
    고려 위정자들이 생각한 치국의 근본은 바로 유학에서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었고, 그것을 위하여 성종은 미래의 동량이 될 수 있는 사·서(士庶)들에게 효행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는 그들에게 훌륭한 위정자가 될 수 있는 유교적인 소양과 인품을 갖출 것을 요구한 것이다.
    충효 사상의 시작은 원래 민중에게 국가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이념적인 복종을 종용하는 것이 결코 아니었다. 그것은 지배계급의 가문과 최고통치자 상호 간 일종의 사상적 계약이었다. 대대로 이어 온 선조의 훌륭한 뜻과 가문의 정신을 계승한 자손의 선순환이 바로 유학적 효 사상의 본질이며, 그 속에서 모든 위정자의 충 이념도 따라온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Hyo(孝: filial piety) ideology which was fundamental in Confucianism should be applied comprehensively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enlightenment in the same way as to the ruling class from a Confucian ritual perspective. The definition of Hyo(孝) in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which can b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is ‘a person who properly has succeeded or will succeed the good deeds that one's parents used to perform based on solemn and focused attitud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notion of inheriting the parents who walked the path of cultivating a moral perfection was the notion of commoners during the Goryeo dynasty, before Confucianism was popularized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Confucian Hyo(孝) ideology of Goryeo Dynasty, the Confucian scriptures written during Han and Tang Dynasty and before them were extensively referred to. The politicians of Goryeo took Confucianism as ‘the foundation of good ruling of a nation.’ In the early days of Goryeo, in King Sungjong(成宗)s decree, he announced that “when one rules a nation and a family, one should give priority to fundamentals, for which there’s nothing better than Hyo(孝).” In the ancient Confucianism, the ‘cún-wáng-jì-jué(存亡繼絶: reviving a destroyed country and continuing died-out descendants) idea’ to preserve a collapsed nation and continue stopped public offices was applied to the wáng-dào(王道: the poitics by a royal king who rules the world through benevolence(仁) and righteousness(義)) ideology. The despensation by Wang Geon, the founder of Goryeo, for the descendants of the destroyed Balhae kingdom can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its practice. The ancestral rituals for the first ancestor and following ancestors was one of the notions to inherit as a filial son.
    The administrators of Goryeo believed that the foundation of ruling a nation was practicing Confucian teachings, and for this, King Sungjong(成宗)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ilial acts to shì(士: junior officials) and shù(庶: the descendants of the ruling class, who are not government officials yet) who would be ‘the pillar of the nation’ in the future. He demanded them that they should be equipped with Confucian knowledge and character to be a good administrator.
    The beginning of the idea of Chung-Hyo(忠孝: loyalty and filial piety) was never to urge the people to submit to the state unconditionally and ideologically. It was a kind of ideological contract between the family of the ruling class and the supreme ruler. The virtuous cicle of the descendants following the great will of their ancestors and inheriting the spirit of their fami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as the essence of Confucian Hyo(孝) ideology, and in it, the Chung(忠: loyalty) ideology of all administrators follo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