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취약성과 서사 - 비판적 실천 서사학의 초학제적 접근 (Vulnerability and Narrative: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o Critical-Practical Narratolog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4.11
36P 미리보기
취약성과 서사 - 비판적 실천 서사학의 초학제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1호 / 239 ~ 274페이지
    · 저자명 : 이소영, 노대원, 백영경, 황임경

    초록

    이 논문은 취약성에 관한 서사를 ‘비판적 실천 서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취약성과 서사의 상호 관계를 논의하며, 질병, 인권, 인류세 위기의 측면에서 취약성 서사가 갖는 의미와 역할을 탐구한다. 21세기의 복잡한 사회적 맥락에서 취약성은 단순히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정치적, 생태적 차원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서사가 취약성의 다면적 특성을 포착하고 사회적 변화와 실천적 대응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분석한다.
    질병 서사는 환자의 질병 경험을 서사화하여 고통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더 나아가 치료와 회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릭 카셀과 아서 클라인만은 생의학 모델의 기계론적 관점을 넘어, 질병이 개인의 전체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고통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접근은 서사의학으로 발전하여 환자와 의료인 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을 강화하며, 질병 서사를 통해 환자의 고통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의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법적 맥락에서의 취약성 서사는 자유주의적 근대법이 상정한 자율적 주체 개념을 재고하고, 인간이 가진 보편적 취약성을 강조함으로써 더 포괄적이고 공감적인 인권법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인권법에서 취약성 서사는 사회적 소수자의 경험을 서사화하여 법적 권리와 보호를 주장하고, 사회적 정의를 위한 새로운 법적 틀을 제시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인간과 비인간 주체, 환경에 이르기까지 인권의 범주를 확장하여 인간 중심적인 인권 개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류세 시대의 기후 변화, 팬데믹과 같은 복합적 위기는 인간 사회의 취약성을 새로운 차원에서 드러낸다. 인류세적 관점에서 취약성 서사는 단순한 환경적 문제를 넘어서 인간의 활동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재해석하고,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연대와 대응 방식을 탐색하는 데 쓰일 수 있다. 특히 섬의 취약성 연구는 섬을 단순히 취약한 장소로 보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생태적·사회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비판적 실천 서사학 관점에서 서사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닌 실천과 저항의 도구이며, 사회적 약자들이 경험을 서사화하여 새로운 사회적 질서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서사의 실천적 가능성을 확장하고, 다양한 학문적 융합을 통해 인간 경험의 복잡성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 실천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ulnerability and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practical narratology’, exploring their significance and role across medicine, law, and anthropology. In the complex social context of the 21st century, vulnerability extends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o encompass social, political, and ecological issues. This study analyzes how narratives capture the multifaceted nature of vulnerability and catalyze social change and practical responses.
    Illness narratives reconstruct the meaning of suffering by narrativizing patients’ experiences, playing a crucial role in treatment and recovery. Eric Cassel and Arthur Kleinman, transcending the mechanistic biomedical model, emphasize the holistic impact of illness o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uffering. This approach has evolved into narrative medicine,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and enabling new medical approaches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patients’ suffering.
    In legal contexts, vulnerability narratives reconsider the concept of autonomous subjects presumed by liberal modern law, emphasizing universal human vulnerability to establish a more inclusive and empathetic foundation for human rights law. These narratives contribute to asserting legal rights and protections for social minorities and proposing new legal frameworks for social justice, suggesting the potent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c human rights concepts.
    The complex crises of the Anthropocene, such as climate change and pandemics, reveal human society’s vulnerability in new dimensions. From an Anthropocene perspective, vulnerability narratives reinterpret human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nd explore new forms of social solidarity and response strategies. Particularly, island vulnerability studies explore possibilities for ecological and social alternatives beyond viewing islands as merely vulnerable places.
    From a critical-practical narratological perspective, narratives are tools for practice and resistance, enabling socially marginalized groups to narrativize their experiences and seek new social orders.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narratives and critically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human experience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leading to practic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