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0년대 초 한국형 냉장고의 출현과 등장 배경 (The Emergence Background of Korean-style Refrigerators in the Early 80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1.05
13P 미리보기
80년대 초 한국형 냉장고의 출현과 등장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4권 / 2호 / 221 ~ 233페이지
    · 저자명 : 오창섭

    초록

    연구배경 연구배경 88 서울 올림픽이 개최될 무렵부터 본격화된 한국형 제품의 유행은 한국 디자인 역사에서 두드러진 현상이었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의 한국형 제품 관련 연구는 80년대 말과 90년대를 주로 주목해 왔다. 하지만 한국형 가전제품은 80년대 초반에도 이미 생산되고 있었다. 1981년에 금성사가 ‘금성 한국형 냉장고’로 광고한 금성 눈표 냉장고가 바로 그것이었는데, 이 냉장고는 88 올림픽 이후 본격화된 한국형 가전제품의 내용을 선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디자인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냉장고나 80년대 초 한국형 가전제품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81년에 출현한 금성 한국형 냉장고의 내용을 이해하고, 왜 하필 그때 이러한 제품이 출현했는지 그 등장 배경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80년대 초 한국형 냉장고와 관련된 문헌과 신문 기사, 광고 등을 도상 해석과 담론분석의 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후, 비평적 서술의 방법을 통해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80년대 초 한국형 냉장고의 등장 이면에는 다음과 같은 경제적, 정책적, 문화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었다. 첫째, 1979년 2차 석유파동과 그에 따른 에너지 절약 분위기는 제품 개발에 있어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것을 핵심 의제로 만들었다. 냉동실을 줄이고 냉장실을 키운 한국형 냉장고는 그러한 배경 속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1978년부터 1979년 사이에 이루어진 3차례의 수입자유화는 기업에게 국내 시장을 상실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끼게 했다. 이러한 기업의 두려움은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주목한 한국형 제품 개발의 또 다른 배경이었다. 셋째, 한국의 고유한 전통을 호명하는 당시 사회 분위기 역시 중요한 배경이었다. 이러한 분위기는 기업으로 하여금 제품 판매에 있어 소비자의 애국심에 기댈 수 있게 함으로써 한국형 냉장고와 같은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결론 한국형 제품은 1980년대 초에 출현했는데, 그것의 등장 이면에는 2차 석유파동이라는 경제적 요인, 수입자유화라는 정책적 요인, 한국을 호명하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Korean-style products, which became fashionable around the 1988 Summer Olympics in Seoul, are prominent phenomena in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design history. Thus, studies on Korean-style products have focused mainly on the late 1980s and 1990s. However, Korean-style electronic products appeared in the early 1980s. For example, one well-known product was the “Gumsung Korean-style refrigerator” produced by Goldstar in 1981. This refrigerator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design history because it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Korean-style home appliances manufactured after the 1988 Summer Olympics. However, until now,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Gumsung Korean-style refrigerator” or any other Korean home appliance in the early 1980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style refrigerator of Goldstar, which appeared in 1981,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is research is necessary. This paper aims to clarify why the product appeared at that time and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Methods The research has reached conclusions using methods of iconic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newspape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Results The following economic, policy, and cultural backgrounds were behind the advent of the 'Gumseong Korean-style refrigerator' in the early 1980s. First, the second oil shock of 1979 highlighted energy efficiency as a key issue in product development. The Korean-style refrigerator, which reduced the freezer size and widened the refrigerator size, was created in such a background. Second, during the three openings of the import market, which occurred between 1978 and 1979, companies feared losing the domestic market. The company's fear was another background for developing Korean-style products that focused on Koreans' lifestyle. Third, the social atmosphere that evoked “Korea” at that time was also an important element. This atmosphere enabled the companies to rely on consumers' patriotism in selling products, thereby enabling products such as the Gumseong Korean-style refrigerator.




    Conclusions The Korean-style design had already appeared in the early 1980s. Behind its appearance were the economic factors of the second oil shock, the policy factors of opening the domestic market,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evoked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