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반영된생산 개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duction in Surrealist Object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2
22P 미리보기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반영된생산 개념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48호 / 7 ~ 28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초현실주의자들은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했던 유물론자들로서,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들에 의해 현실 세계가 개혁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초현실주의자들이 노동자들에 의한 세계 혁명을본격적으로 지지했던 1930년대에 초현실주의 오브제 창작이 조직적으로 추진되었던 것에 주목하여, 초현실주의 오브제에 반영된 생산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초현실주의자들이 예술 작품을 통해 인간을소외시키는 자본주의의 생산 구조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초현실주의 오브제는 다다로부터 전래되는 기계적 생산물을 수용했지만 자연의 생명력을 반영한다는 점에서아르누보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으며, 구축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사회주의적 발명품과는 달리 원시 오브제와 같이 정신적 세계를 매개하는 상징적 기능을 했다. 또한 초현실주의자들은 부르주아의 일상오브제들을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부르주아 사회가 통제한 원초적 리비도의 매개항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지배 질서를 공격했다. 이러한 점에서 초현실주의자들이 변증법적 유물론자임을 자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지향한 사회가 공산주의 사회와 일치할 수 없었음이 분명해진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오브제를 통해서 인간의 보편적인 창조 충동을 표출하여 집단 무의식을 공유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주의를 넘어서는 만민 평등의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고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초현실주의 오브제를 통해서 드러나는 초현실적 의미에서의 생산이란결국 자본주의 체제에 대항하여 노동을 통해 물질을 정신적 세계의 통로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초현실주의자들이 창조성의 원천이라고 보있던 인간의 내적 충동을 물질화함으로써 인본적 공동체를 이루려는 사회적이고 혁명적인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s materialists who criticized capitalist production, surrealists supported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the 1930s. Noting that surrealist objects were collectively created in this perio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roduction reflected in those objects to clarify how surrealists endeavored to effect change in the production structure of capitalism. Exploring surrealist concept of the human labor,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rti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ist productions of constructivists and those of the surrealist objects that inherited Art Nouveau’s acceptance of the vitality of nature. In the second part, I analyze how surrealists have transformed the bourgeoisie’s ordinary objects into mediators of the vital impulse which they accepted as the creative human power against the normative criterion of the bourgeoisie.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surrealist objects, this paper ultimately argues that the surrealist revolution against the capitalist system aims not toward a communist society, but toward a universal human community based on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surrealist production is a form of revolutionary social practice to change the material of capitalist society into a channel of the spiritual world, materializing human impulses, which are the real source of the creative human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