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베트남 『도남경』에 나타난 사상경향 연구 (A Study on the Ideological Trends of Donamgyong in Vietnam in the Early 20C)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3.09
45P 미리보기
20세기 초 베트남 『도남경』에 나타난 사상경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3권 / 247 ~ 291페이지
    · 저자명 : 김성범

    초록

    이 연구는 20세기 초 베트남 북부지역 마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티엔단(Thiện Đàn, 善壇) 운동의 여러 강필(降筆) 가운데 1923년 책으로 출판된 『도남경(道南經)』에 담긴 사상을 파악하려는 시도다. 하지만 이 저본은 거의 대부분 츠놈(chữ Nôm, 字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해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2007년에 츠놈을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출판한 『도남경』을 저본으로 삼아 그 안에 담긴 사상경향을 고찰한다.
    20세기 초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사상과 운동이 국내외적 정세와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베트남 북부 마을을 중심으로 전개된 티엔단 운동은 매우 독특한 독립운동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남경』은 전편을 통해 베트남 북부 마을 사람들의 인식을 전환시키고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으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추동했으나 구체적인 독립투쟁 방안이나 새롭게 형성할 국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이러한 한계는 곧바로 등장하는 호치민에 의해 극복된다.
    2007년 출판된 『도남경』은 크게 다오주이안의 해제, 「건집」, 「곤집」으로 나뉘어 있다. 「건집」은 남성들에게 전하는 말로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곤집」은 여성들에게 전하는 말로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집」의 내용을 통해 감지되는 사상경향은 첫째 마을의 사람들이 스스로 나라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의식의 형성이다. 왕과 지배계층이었던 유학자가 아닌 민중이 비로소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것이다. 둘째, 유학의 윤리강상을 중시하면서 세계의 실용적인 학문을 배우지만 결국 수행에서는 불교를 등장시킨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셋째, 각자위심(各自爲心)을 극복하고 민족공동체로서 단결해야 함을 강하게 제기한다. 넷째, 「건집」의 결론이라 할 수 있는 ‘애국’의 사상경향이다.
    「건집」에 비해 「곤집」은 내용이 비교적 소략하다. 그 내용을 통해 감지되는 사상경향을 보면 첫째, 삼종사덕(三從四德)이라는 유학의 개념을 쓰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 내용이 다르게 제기된다. 둘째, 가정의 일은 여성이 홀로 감당해야만 한다는 인상을 풍긴다. 비장함마저도 느낄 수 있는 이러한 내용은 남편이나 남성들이 마을을 떠나 독립투쟁에 나섰을 때 홀로 남은 여성으로서 해야 할 덕목을 제시하는 듯하다. 외침을 받은 상황에서 민족의 마지막 보루는 마을일 수밖에 없었으며, 그 보루를 지켜야 하는 일은 전장에 나서지 않은 여성들이었다. 아내의 도리는 집안의 장군이 되어야 한다는 사유는 오늘날까지도 베트남 북부지역의 마을에서는 일반적인 인식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Donamgyong (道南經, 1923), one of the many sutras released during the Thiện Đàn (善壇) movement, which developed around villages in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very unique method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not only Vietnam but also Korea developed complex ideas and movements in line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Donamgyong initiated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villagers in northern Vietnam, inspired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omoted love for the country in them. Still, it does not suggest any specific plan for an independence movement or a new country to be formed. This is overcome by Ho Chi Minh who emerged immediately after this period.
    The text of Donamgyong is written in chữ Nôm (字喃), which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refore, this study takes Donamgyong (2007), which translated the chữ Nôm into Vietnamese. It consists of a preface by Dao Duy Anh, “Book Keon,” and “Book Kon.” “Book Keon” is ten chapters of letters to men while “Book Kon” gives messages of three chapters to women.
    “Book Keon” primarily shows the formation of consciousness that the people of the village should become the masters of the country themselves. The people, not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the king and the ruling class, appeared at the forefront of history for the first time. Second, it is characteristic that Buddhism is introduced in the practice, although it emphasizes the ethics of Confucianism and practical studies from around the world. Third, it strongly suggests that each should overcome self-centeredness and unite as a national community. Fourth, “Book Keon” provides the basis of patriotism.
    Compared to “Book Keon,” “Book Kon” is relatively brief in content. First, Confucius idea of Samjongsadeok (三從四德) is elaborated with different connotations. Second, it entitles women to handle the whole household alone. It brings about the virtues that a woman left alone should hold when husbands or other men leave the village to fight for the country. In a situation of invasion, villages become the stronghold of the nation and it was the women who are supposed to stay in and persist in the village. Therefore, one of the duties of women is to be the leader of the family and it has been a shared perception in the villages of northern Vietn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