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 의의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ree kingdoms and the significance of Danghang-fortress battle in the early 7th C)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5.09
38P 미리보기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96호 / 135 ~ 172페이지
    · 저자명 : 황보경

    초록

    당항성은 신라 진흥왕대 한강 유역을 점령한 이후 대중국 외교의 거점으로 국운을 걸고 사수해야만 했던 곳이다. 반면, 백제나 고구려는 신라를 공격하는데 있어 수나 당의 간섭이 부담되었기 때문에 반드시 당항성을 봉쇄해야만 하는 입장이었다.
    642년 백제 의자왕은 마침내 신라 정벌을 위해 40여 성과 대야성 함락을 일거에 이루게 되며, 동시에 당항성을 고구려와 함께 공격하였다. 당항성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던 것은 대야성을 함락하여 신라 왕도를 공격하기 위한 교두보를 확보함과 동시에 당으로 사신을 보내지 못하도록 봉쇄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그러나, 백제는 단독으로 당항성을 공격하기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고구려에 청병을 하게 되고, 고구려는 낭비성과 칠중성 전투의 보복 차원에서 전투에 응하게 된다. 고구려와 백제는 빠른 시일 내에 당항성을 공격하기 위하여 육군보다는 수군을 동원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덕적도와 당항성 사이에서 치열한 전투가 전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투결과, 백제와 고구려군은 조수간만의 차이와 지리적인 여건 등을 극복하지 못하여 당항성을 함락하는데 실패하였다. 이 전투를 계기로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가 동맹한 것을 탐지하였고, 이를 당에 알려 청병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당과 친밀한 관계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당항성 전투는 이제까지 대야성 전투에 가려져 백제와 고구려, 신라사이에 벌어진 일회성 국지전으로 여겨져 온 경향이 있지만, 백제의 치밀한 계획하에 벌어진 전투였다. 비록 이 전투에서 백제와 고구려군이 당항성을 봉쇄하지 못하였지만, 신라와 당사이의 외교관계를 단절시키고자 시도했던 목적이 뚜렷한 전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백제가 신라를 공략하는 전술을 이전까지와는 다르게 전개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s Danghang-fortress was the key position of diplomacy to China after the occupation of Han-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of King Jinheung of Shilla, it was the place which must defend staking the national destiny.
    Whereas, Backje and Gogurye had to block up the point because they bore the burden of Su or Dang’s Dynasty interference when they attacked Shilla. Finally in 642, Backje's King Uija captured approximately the 40 castles and Daeya-fortress. At the same time it attacked the Danghang-fortress with Gogurye. The reason why Danghang-fortress became a target was to obtain the bridehead for attacking the royal road through attacking Daeya-fortress. it also meant that they couldn’t send a envoy to Dang.
    But Backje hadn’t been enough strong if for attacking Danghang-fortress lonely. So it asked Gogurye to send the troops. As for the request of military support from Backje, Gogurye accepted that because it retaliated against Shilla for the defeat of Nangby-fortress and Chiljung-fortress battle in the past. In oder to attack Danghang-fortress quickly Gogurye and Backje might use the naval forces than the army. There supposed to be intensive battle between Deuckjeck-island and Danghang-fortress.
    As the result of the battle, Backje and Gogurye failed to gain secure Danghang-fortress because they could not overco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se and fall of the tide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s. Through this battle, Shilla came to know(identified) the reality of Gogurye and Backje’s alliance and Shilla could inform the fact to Dan and it developed their favorable relations with Dang. So they requested Dang to send out the military forces.
    Even though Danghang-fortress battle had been considered a kind of one-time regional war thus far, in fact, it occurred under Backje’s deliberate plan. Although this battle couldn’t be blocked Danghang-fortress by Backje and Gogurye, this it is significant that the aim of conducting of the battle was to break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hilla and Dang. Also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Backje used different tactics when he attacked Shilla compared to the battle in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