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초 독일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와 그림동화 (Die deutsche bürgerliche Ideologie zu Anfang des 19. Jahrhunderts und in den Grimmschen Märche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19세기 초 독일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와 그림동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76권 / 76호 / 203 ~ 224페이지
    · 저자명 : 송희영

    초록

    그림 형제의 『아이와 가정의 동화』 가운데 「장미공주 Dornröschen」와 「백설 공주 Schneewittchen」는 아름다움과 순종, 수동성, 인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동화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잠자는 숲속의 공주」로 알려진 「장미공주」의 여주인공은 100년간 잠들고, 백설 공주는 사과를 베물고 죽은 듯 잠들다가 깨어난다. 이들 ‘잠자는 미녀’는 아름답지만, 자신의 주장과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순종과 인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여성상의 전형이다. 이들은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그리고 끝내 인내의 기다림을 미덕으로 포상받는 여성들로서 그림동화는 이러한 인고의 기다림과 덕목을 지킨 여성들에게 마침내 해피엔딩을 선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여성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동화는 결코 초 시대적인 산물이 아닌, 철저하게 당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가치관과 삶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면서, 그림동화가 만들어진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19세기 초 독일 사회의 변화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가 그림동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탄생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독일 사회와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분석대상은 그림동화 중 ‘잠자는 미녀’의 이미지가 가장 잘 드러난 「장미공주」와 「백설 공주」에 한정한다. 물론 그림동화의 여주인공의 이미지와 성차별에 초점을 두고 비판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림동화의 여성상에 관해 분석한 논문 중 대표적인 논문으로 「Grimm 동화에 있어서 여성 인물의 특성」(박대환, 독어교육, 1999), 그림동화의 여성상과 남성상을 유형별로 분석한 「그림 Grimm동화에 나타난 여성상과 남성상」(최석희, 독일어문학, 2000), 그림동화의 양극적 여성 이미지와 헐리우드 영화의 재현을 연구한 「천사 아니면 마녀? - 그림동화와 헐리우드 영화 속의 여성이미지」(송희영, 헤세연구, 2004)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그러한 여성 이미지가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써 19세기 초 독일 사회를 주목해서 살펴볼 것이며, 그것이 그림동화에서 어떻게 재현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역추적할 것이다. 그림동화 자체를 분석한 연구는 많아도 그림동화의 배경으로 19세기 초 독일 사회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

    영어초록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Untersuchung von der deutschen bürgerlichen Ideologie zu Anfang des 19. Jahrhunderts und in den Grimmschen Märchen. 1812 erschien die erste Auflage der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1819 erschien die zweite Auflage, und im Jahr 2019 wurde das zweihundertste Jubiläum der Kinder- und Hausmärchen gefeiert.
    Der Märchenforscher Lutz Röhrich meinte, das Märchen tut alles, um die Wirklichkeit nicht zu weit zu verlassen: Kinder- und Hausmärchen spiegeln somit die deutsche Gesellschaft des 19. Jahrhunerts wider. Ende des 18. Jahrhunderts kam das Rollenmodell des natürlichen Geschlechtscharakters auf, das ebenfalls einen großen Einfluss auf die Gesellschaft im 19. Jahrhundert ausübte. Frauen hatten demnach keinen Subjekt-Status, waren keine mündigen, autonomen Menschen, sondern benötigten eine Geschlechtsvormundschaft, ausgeübt durch den Vater oder den Ehemann. In den Schriften zementierten die bedeutenden Philosophen des späten 18. und frühen 19. Jahrhunderts wie Kant und Fichte ebenfalls die prinzipielle Ungleichheit der Geschlechter und rechtfertigten faktisch die Minderstellung der Frau. Gemäß dem sich unter diesen Bedingungen entwickelnden bürgerlichen Familienideal vertrat der Mann die Familie nach außen und nahm alle öffentlichen Aufgaben wahr. Im Gegensatz fand die Frau ihre Erfüllung in der Privatheit als Hausfrau und Mutter. Sie war dazu von jeder Art gesellschaftlich-politischer Mitwirkung ausgeschlossen und kümmerte sich um den Haushalt sowie den Familienalltag und sozialisierte die Kinder.
    In den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wird die extreme Passivität und Subordinationen der weiblichen Figuren zum Ausdruck gebracht: Vor allem symbolisieren Dornröschen und Schneewittchen ‘schlafende Schönheiten’. Dornröschen schläft einhundert Jahr lang und Schneewittchen liegt lange in dem Sarg, als ob sie schlafen würde. Die Begegnung der Heldinnen mit dem zukünftigen Ehemann wirkt aus heutiger Sicht unfreiwillig, passiv und unterwürfig. Als völlig teilnahmslos gegenüber dem Gemahl könnten die beiden Frauengestalten gelten. Die Grimmschen Märchen spiegeln somit die Idealvorstellung des 19. Jahrhunderts von der Rolle der bürgerlichen Frauen wi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