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李王家 관련 金剛山圖 硏究 (A Study on Paintings of Mount Kumgang for the Yi Royal-Famil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20세기 초 李王家 관련 金剛山圖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1272권 / 271272호 / 205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수

    초록

    이 논문은 金圭鎭(1868-1933)의 昌德宮 熙政堂 벽화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가구에 시문된李道榮(1884-1933)의 金剛山圖를 대상으로 20세기 초 왕실에서 금강산도를 수용하게 된 배경 및 왕실에 수용된 금강산도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금강산은 두 가지 상반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조선을 합병한 일제는 적극적인 금강산관광정책을 통해 조선이 新帝國의 일부임을 전 세계에 인식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인들에게 금강산은민족혼의 상징이라는 사상이 대두되었다. 昌德宮 熙政堂에 금강산도가 부착된 1920년은 3·1 운동이 발발한바로 다음해로서 민족적 기운이 어느 때 보다 창궐한 때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궁중 벽화의 주제로 금강산도가 채택된 것은 단순한 일제의 의도 외에 금강산이 지녔던 민족적 상징성과 대외적 효과를 인식한 이왕가의 입장이 적극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3·1 운동 이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선회한 일제의 통치 전략은 물론 금강산 관광 정책을 적극 계획하고 있던 일제의 의도와 맞물리면서 일제의 특별한 간섭 없이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 이왕가의 후원을 받은 김규진의 창덕궁 희정당 벽화는 직접적인 사생과 사진을 바탕으로근대적 사실성이 반영된 금강산도의 새로운 면모를 창출해냈다. 본고에서는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그의 기행문과 스케치들, 그리고 당시 간행된 금강산 사진과의 관계 속에서 작가가 이루어낸 독자적인 영역을 살펴보았다.
    왕실용으로 전해져온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 의걸이장과 침대는 나전공 김진갑(1900-1972)이1930년대 후반경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구에 시문된 금강산도에는 관재 이도영의 호가 명시되어 있어 회화사적으로도 매우 주목된다. 나전의걸이장에 시문된 <금강산 구룡연>과 <만물상 삼선암>은 이도영의 목판화에 보이는 각진 칼맛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나전침대에 시문된 <금강산 만물상>과 <해금강입석의 송도>는 반대로 부드러운 선과 세밀한 묘사를 특징으로 함으로써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된 일본풍의 금강산 그림들 및 1930년대 선전 공예부에 유행했던 금강산도 문양들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20th century, images of Kumgang Mountains made their appearance in paintings and craft items for the royal-family of Yi, following Japan’s annexation of Joseon.
    This paper examines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mural painting in Huijeong Hall(熙政堂) of Changdeok Palace(昌德宮) by Kim Kyujin(金圭鎭, 1868-1933) and landscape paintings by Yi Doyoung(李道榮, 1884-1933), transposed onto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furniture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significan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theme for the histor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how this traditional landscape theme was rendered during this period of transi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umgang Mountains held two opposite significances for Korean people. Upon the annexation of Joseo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actively promoted tourism in the Kumgang Mountains in a bid to show to the outside world that the country was now part of the empire of Japan. For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Kumgang Mountains took on an increasing significance as a symbol of national spirit.
    In 1920, after one year from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paintings were placed on the wall of Huijeong Hall ofChangdeok Palace. The choi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for a palace mural at a time cannot be a pure accident, especially when there was a renewed patriotic fervor among Korean people. Even though the decision was made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the Yi royal-family had intention in this matter. The royal house must, therefore, have been aware of the symbolic importance of Kumgang Mountains for Korean people and how it could effectively embody Korea’s national spirit bef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was, meanwhile, possible for this painting to become prominently displayed in Changdeok Palace, in part thanks to the so-called cultural policy adopted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 in the wak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 event that spelled the end of the iron-fisted militaristic rule of Josen.
    This painting was created under the patronage of the royal house. Kim Kyujin personally traveled to the Kumgang Mountains and painted the landscape based on the sketches he made and photographs of Mount Kumgang from other sources. The resulting painting, modern and realistic, was quite distinct from other landscape works on this mountain from previous eras.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the original stlye of Kim Kyujin on his mural paintings, by examining his travel essays and sketches appeared in the Maeil Shinbo(每日申報) and comparing them with photographs of the Kumgang Mountains published around this time.
    The two royal house furnishing items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namely, the mother-of-pearl lacquer wardrobe and bed,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sometime in the late 1930s by an artisan Kim Jingap 金鎭甲(1900-1972). The Kumgang Mountain landscapes on the surface of these two pieces of furniture bear the signature of Yi Doyoung, which makes them valuable resources in studying his artistic style.
    The images of the Guryong Waterfall(九龍淵) and Samseon Rocks(三仙岩) on the wardrobe, in mother-of-pearl mosaic, are evocative of Yi Doyoung’s woodblock print works,in its abrupt lines and angles, as though created by a carving knife. Meanwhile, the images of the Manmulsang(萬物相) and the view of Pine tree Island(松島) in Haegeumgang Ip-seok(海金剛 立石), found on the bed frame, are in gently-curved lines and have meticulous details. This style is reminiscent of Japanese-style landscape paintings on the Kumgang Mountains that were presented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se images are also similar to the KumgangMountains landscape motifs popularly seen in craft items displayed in the same Exhibition during the 1930s. The landscape images on the mother-of-pearl wardrobe are simpler than those on the bed frame, but echo more directly the style of Yi Doyoung. The images of the Kumgang Mountains on the mother-of-pearl bed frame also display a strong Japanese influence, unlike those on the wardro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