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후의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 《절대적 거리 L’écart absolu》(1965)에 나타난 초현실적 사회상 (The Vision of Surreal Society in the Last International Surrealist Exhibition L’écart absolu(1965))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3.02
24P 미리보기
최후의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 《절대적 거리 L’écart absolu》(1965)에 나타난 초현실적 사회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58호 / 75 ~ 98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는 집단적 미학 선포의 장이자 사회적 발언으로서, 예술과 정치를 조화시키려는 초현실주의의 실천 기반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마지막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인 1965년의 《절대적 거리》를 통해서 초현실주의가 지향했던 사회상에 대해 고찰한다. 《절대적 거리》는 19세기 초 산업사회를 비판했던 샤를 푸리에의 이론에 대해 전적인 지지를 표명한 전시였다. 푸리에는 계몽주의로부터 발전된 산업사회의 문제를 비판했고, 인간의 자연적 본성인 열정에 충실함으로써 이상적인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초현실주의자들의 공산당 탈당 후 푸리에의 사회이론은 공산주의를 대신하여 그들이 추구했던 사회상을 정당화해줄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푸리에의 이론을 통해 초현실주의자들은 초현실주의 혁명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원시 부족문화에 대한 탐구로써 강화된 공동체주의를 사회학적 차원으로 확장시켰다. 푸리에의 사회이론을 수용한 《절대적 거리》 전시에서는 1960년대 소비사회의 기물들을 초현실주의 오브제로 변용하여 소비사회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강조된 바인 문화적 이질성을 넘어서는 공동체를 추구하는 특성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초현실주의자들은 당대 소비사회에 대항하여 인간의 열정과 욕망을 수용하고 모든 인간이 보편적으로 갖는 창조적 힘을 통해 연대하고자 했다. 《절대적 거리》 전시는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가 미래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일상적 현실을 시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창조적 능력에 의해서 지금 이 자리에서 실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가 곧 인본주의적 공동체가 실현된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ocial vision of surrealism through L'écart absolu, the last international surrealist exhibition in 1965. L'écart absolu was conceived as a homage to Charles Fourier who criticized the industrial society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saw that an ideal community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e of human instinctual passions. Surrealists adopted Fourier's theory to justify the social vision they pursued on behalf of the dialectical materialism after leaving the Communist Party. At the L'écart absolu, surrealists did not only sought the revolution from everyday life they had pursued through surrealist objects since the 1930s by metamorphosing the ordinary consumer products in the 1960s, but also presented their postwar attitudes toward a universal community that transcends cultural heterogeneity. Surrealists embraced human passions and desires and confronted the consumer society by consolidating through creative power all human beings universally possess. L'écart absolu shows that such a community is not a utopia for the future, but can be realized here and now by the creative ability to poetically transform everyday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