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上古音 *s[+nasal]-式 音節初 子音群(Initial Cluster) - 戰國~西漢時代의 楚地 출토문헌 위주로 (Old Chinese Initial Cluster *s[+nasal]- - main data is Chu and West Han scrip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5.04
22P 미리보기
上古音 *s[+nasal]-式 音節初 子音群(Initial Cluster) - 戰國~西漢時代의 楚地 출토문헌 위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0호 / 191 ~ 212페이지
    · 저자명 : 한경호

    초록

    본고에서는 상고음 음절구조에 있어, 鼻音 앞에 *s-이 붙는 *s[+nasal]式 音節初 子音群(Initial Cluster)에 대하여, 戰國~西漢時代의 楚地 출토문헌에서 나타난 자료들을 토대로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가 발견해낸 상관 예시를 크게 셋으로 나누면 *sM-, *sN-, *s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sM-과 유관한 예시로 찾아낸 것은 ‘選’과 ‘羞’였으며, 유관한 출토문헌자료 및 티베트-미얀마어 동원사와의 비교를 통해 그 둘의 聲母가 *sm-式이었음을 밝혀내었다.
    그 다음으로, *sN-과 유관한 예시로 찾아낸 것들은 다시 중고음에 이르러 치경마찰음(s-)으로 변한 것과 치경파찰음(ts-, tsʰ-)으로 변한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중 전자인 것은 ‘信, 襄, 壐’였으며, 후자인 것은 ‘次, 即, 戚’등이었다.
    마지막으로 *sŊ-와 유관한 예시로 찾아낸 것들은 ‘疋’와 ‘所’의 둘이었으며, 특히나 이와 관련되어 나타난 ‘所’의 異文은 더불어 去聲의 上古音 접미사 *-s와 유관해 보이는 예시를 나타내어, 앞으로 더 나아가야 할 연구의 소재가 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nasals preceded by *s-, namely *s[+nasal] type initial cluster in the syllable structure of Old Chinese, based on the material illustrated in the excavated literature of Chu areas ranging from the Warraing States to Western Han Dynasty period. The examples found in the material can be brief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e. "* sM-, * sN-, * sŊ-".
    First, the *sM- group include "選", "羞" as examples. Comparison with related other excavated literature and Tibeto-Burman cognates showed that the initial cluster of the two examples is something like *sm-.
    Second, the *sN- group can b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change in Middle Chinese: some of them, namely "信, 襄, 壐", appear to be alveolar fricative (s-) in Middle Chinese, and the others like "次, 即, 戚" became alveolar affricates (ts-, tsʰ-).
    Finally, examples "疋, 所" belong to be in *sŊ- group. Most importantly, there is a variant of "所" which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 Old Chinese suffix *-s (corresponds falling tone去聲 in Middle Chinese), making it as a topic of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