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겔의『정신현상학』에서 양심의 변증법과 상호인정의 공동체 (Dialectics of Conscience and Community of Mutual Recognition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ri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2.09
44P 미리보기
헤겔의『정신현상학』에서 양심의 변증법과 상호인정의 공동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5호 / 375 ~ 418페이지
    · 저자명 : 이행남

    초록

    필자는 본고에서 『법철학』의 양심론과는 다른, 『정신현상학』의 ‘양심’ 절(이하 ‘양심’ 절)이 윤리적 차원에서 갖는 고유한 측면을 드러내고자 한다. 전자에서 양심이 ‘도덕성’의 마지막 형상으로서 ‘인륜성’으로의 이행을 예비하는 단계로서 주목되었다면, 후자에서는 ‘양심 내재적인’ 관점에 따라 양심의 변증법적 운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가 다루어진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양심이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역사적이고도 체계적인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그 직전 단계를 이루는 ‘도덕적 세계관’의 한계를 간략히 분석한다(2). 다음으로, ‘양심’을 구성하는 세 쌍의 이중적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에 힘입어 양심의 변증법적 운동이 어떻게 추동되는지를 예고한다(3). 이어서 ‘양심’ 절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 및 재구성을 통해 양심이 일련의 형상의 변화(‘아름다운 영혼’, ‘행위하는 양심’, ‘평가하는 의식’ 등) 및 지평의 전환(독자적 “존엄”의 향유로부터 대립적 상호 관계로)을 통해 점점 발전된 상호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헤겔의 서술에 천착하여 재구성한다(4). 마지막으로 이렇게 도달되는 진정한 공동체의 윤리적 문법은 상호 인정 관계 ‘자체’를 본질로 함을 보인다. 진정한 소통적 공동체의 정신은 오로지 ‘일방적인 것이 아닌 상호 대칭적인’ 고백과 용서라는 개방적 행위를 통해서만, 그리고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특수한 행위에 제기되는 상대의 규범적인 비판에 응하면서 우리의 ‘의무’를 함께 만들어나가는 집합적 실천을 통해 보편을 지향하는 주체로서 서로를 인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자들의 사이에서만 열린다(5)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eal the unique aspect of the ‘Conscience’ section of 『Phenomenology of Spirit』(hereinafter ‘Conscience’ section), which in the ethical dimension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conscience in 『Philosophy of Right』. In the latter, conscience was noted as a pre-step to prepare for the transition to 'ethical life' as the final figure of 'morality', whereas in the former, what kind of 'immanent' process of conscience is developed is dealt with. To clarify this, I first briefly review the “moral worldview” that forms the immediately preceding step before ‘Conscience’ se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ystematic background of the inevitability of development of the conscience (2). Next, the aspect of the intrinsic dialectic of conscience in the ‘Conscience’ section and the three pairs of tensions driving it are dealt with (3). Then, I will show, through a full-scale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the ‘Conscience’ section, how the conscience is transformed in a series of shape changes ('beautiful soul', 'conscience in action', 'evaluating consciousness', etc.) and in a progressively developed reciprocal relationsfrom (self-sufficient enjoyment to antagonistic reciprocity) (4). Finally, it is shown that the ethical grammar of the true community reached in this way is the relationship of mutual recognition itself. A true community of communication is not one-sided, but an open act of confession and forgiveness that is mutually symmetrical, and openness ready to mutually acknowledge the 'equality' in which all members claim universality but are tied to specificity. It is argued that the true community can only be constructed on this open mutual recognition (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