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절 위기 공동체놀이의 전승현황과 계승 방향 -강강술래를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Status and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for the Community Plays in Danger of Discontinuation-Centering on GangGangsulla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09.05
34P 미리보기
단절 위기 공동체놀이의 전승현황과 계승 방향 -강강술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49권 / 299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경엽

    초록

    공동체놀이는 한 집단의 문화 창조력과 활력을 보여주는 증표 역할을 한다. 강강술래는 예술성과 문화적 창조성, 전승집단의 정체성을 표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전승력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단절 위기에 처해 있다. 강강술래의 현황을 보면, 전승력의 약화, 다양성의 상실과 단순화, 문화재 위주의 관심과 탈맥락화 등이 문제시된다. 다양성이 소멸되고 고정화되는 문제를 올바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본래의 맥락을 충실히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배경에서 강강술래 전승이 위축되고 축소되었는지 변화의 흐름을 읽고, 무형문화재로 대표되는 보존 대책의 허실을 진단하고 계승 방향을 새롭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강강술래는 연행 형태가 다양하다. 여성들 중심의 ‘술래판’, 남녀가 함께 어울리는 ‘뜀뛰기판’, 이웃마을과 어울리는 ‘중로보기’ 등 세 가지가 있다. 그리고 놀이 구성도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강강술래가 지역마다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놀이 방법이나 사설 등을 보면 더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특정 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획일화하기보다는 본래의 다양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강술래는 단절 위기에 직면해 있다. 지역마다 전승되던 강강술래가 본래 어떤 모습이었는지 기록조차 되지 않은 채로 잊혀지고 있다. 문화재 강강술래마저도 본래의 생동감은 사라지고 공연 위주의 텍스트만을 유지하고 있으니 단절 위기의 심각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흐름이 이어지지 않고, 유대 관계가 끊기고 있는 단절의 문제점은 세대적 계승이 원활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그것을 회복하는 쪽으로 문화정책이 세워져야 한다.
    무형문화재는 놀이내용과 절차만을 ‘원형’으로 간주하고 있다. 민속경연대회에서 연출된 형태를 모델로 정해 보존하고 있다. 그보다 더 중요한 본래의 연행 맥락이나 문법을 지키는 쪽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연행될 때마다 새롭게 되살아나는 연행예술 고유의 원리를 중시해야 함에도 그 문제에는 관심이 없다. 지역적 다양성을 회복하고, 살아 있는 놀이로 전승될 수 있도록 대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공동체놀이의 단절을 극복하고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계승론 차원의 접근이 구체화돼야 한다.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문제가 중요하고, 살아 있는 문화로 되살리기 위해 현장성을 확보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공동체놀이의 현장성은 재창조를 견인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동체놀이는 고정된 텍스트가 아니라 현장에서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특성이 있다. 강강술래의 경우라면, 이념적인 지향성이 그렇듯이 새로운 것들을 포괄하면서 어우러지는 놀이로 재창조돼야 한다. 또한 공동체놀이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마주한 삶의 문제들이 텍스트로 새롭게 구성될 때 살아 있는 문화로 지속될 수 있다. 연행형태의 다양성과 지역마다 특색 있게 전승되던 놀이 구성의 다양성은 강강술래의 열린 구조를 말해준다. 그것을 창조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Community plays are the certificate that reflects the cultural creativity and vitality of a certain group. Ganggangsullae has the function of expressing the artistic expression, cultural creation, and the identity of transmission group. However, it is in danger of extinction due to its waning transmission.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Ganggangsullae will allow us to talk about the diminishing of transmission, loss and simplification of diversity, interests mainly in cultural assets, and discontextualization.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problem of losing variety and fixat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essential context faithfully. There is a need to read the flow of change in how the transmission of Ganggangsullae became weak and, to diagnose the fact and fiction of the preservation policy represnted by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finally to discuss the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Ganggangsullae has various types in performance. There are three types:‘Sullaepan’ mainly performed by women, ‘Ttuimttuigiupan’ performed by both men and women, and ‘Jungrobogi’ performed with people from the neighbor town. Also, the arrangement of the play differs from region to region. Similar and yet different Ganggangsullae is transmitted in different regions. Also, looking at the details of the play and the chattering will reveal more various types. We need to focus on the original diversity rather than standardize the play with the materials from a certain region,
    Ganggangsullae is in danger of discontinuation. Ganggangsullae transmitted in different regions is becoming forgotten as to how it was performed originally. Cultural asset Ganggangsullae lost its original energy and barely maintaining the text of performance-oriented; however, it is not free from the risk of discontinuation. The problem of discontinuation in which the flow and the solidarity is disconnected is originated from inactive transmission of generati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only consider the content of the play and the procedure as ‘archetype’. The type performed in the folklore contest is proclaimed as the model. However, there is no interest in preserving the original performance and the grammar which matter more. While there is a clear need to value the unique principles of the performance which revive everytime it is performed, few pay heed to it. We need to revive the regional diversity and transmit it as a living play.
    In order to over come the discontinuation of community play and continue the flow, approach to transmission has to be detailed. In order to transmit in a modern mann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to acquire realism to bring it back to real life. The realism of community play can work as a force to tow recreation. Community play is not a fixed text but it is created and arranged on the field. In case for Ganggangsullae, as the ideal orientation, it needs to be recreated to include and combine new things. In addition, community play can be rearranged to be a living culture when the problems of life that community members have are arranged to be a text in a new manner. The diversity of performance and the arrangement of play which is tranmitted uniquely in each region describe the open structure of Ganggangsullae. We need to interpret it creatively and apply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