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제전의 반복과 형식 : 공동체 윤리와 기억의 수행 (Repetition and Form in Ancient Festivals : The Performance of Communal Ethics and Memo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5.06
39P 미리보기
고대 제전의 반복과 형식 : 공동체 윤리와 기억의 수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와 문화 / 23호 / 273 ~ 311페이지
    · 저자명 : 안상욱

    초록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의 4대 제전이 단순한 체육 경기나 종교 의례를 넘어, 반복과 형식을 통해 공동체 정체성을 구성하는 문화적 수행 장치였음을 밝힌다. 『그리스 기행』에서 파우사니아스는 제전의 주기, 공간 구성, 의례 절차, 조형물 배치 등을 세밀히 기록하며, 제전이 일정한 질서와 더불어 각종 시각적 상징과 구조물의 배열 등 감각 가능한 요소들을 통해 공동체 질서를 체화시키는 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제전의 반복이 어떻게 신화 속 시간과 현재를 연결하고, 제전의 정형화된 동선과 상징, 공간적 배치가 참가자의 신체적 체험을 통해 윤리와 위계의 내면화를 유도하는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은 감각을 매개로 기억을 선택하고, 명예를 분배하며, 공동체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재편한다. 제전은 과거를 재현함과 동시에 반복을 통해 매 회차마다 공동체의 질서를 새롭게 구성하는 수행적 무대로 기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전의 구조를 통해 고대의 형식이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를 조직하고 상상하는 방식에 어떤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our major festivals of ancient Greece functioned not merely as athletic or religious events, but as cultural practices that shaped communal identity through repetition and formal structures. In Description of Greece, Pausanias meticulously documents the periodic cycles, spatial organization, ritual procedures, and placement of monuments within each festival, showing how these events embodied communal order through sensorially accessible elements such as visual symbols and architectural arrangements. This paper analyzes how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festivals connected mythical time with the present, and how their formalized movements, symbols, and spatial layouts led participants to internalize communal ethics and hierarchy through bodily experience. This process entailed the selective transmission of memory, the distribution of honor, and the dynamic reconfiguration of collective identity. The festivals not only reenacted the past through repetition but also served as performative arenas where social order was continually reconstructed. By examining these struc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ncient formal practices for organizing and imagining community in contemporar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