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산도 마을어장의 확장과어업공동체의 적응 (The Expansion of Village Fisheries and the adaptation of Fishing Business Communiti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청산도 마을어장의 확장과어업공동체의 적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6호 / 225 ~ 254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청산도의 마을어장 변화와 어업공동체의 적응을 주목하였다. 청산도의 섬마을들은 반농반어촌으로 ‘통’이라고 하는 전통적 해조류 채취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통’은 마을의 해안가를 공유하면서 해조류를 공동으로 채취하고 그 수익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전통적인 어업공동체이다. 통의 성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오랜 과거부터 전승되어 온 어업공동체임에는 틀림없다. 교통편과 상품의 유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전통시대에는 자연산 해조류가 가계소득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고, 통이 어촌의 공동체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통적 의미에서 마을어장은 해조류를 채취하는 조간대를 의미했고, 조간대는 ‘통’에서 관할하였다. 그런데 19세기 말부터 제주해녀들이 청산도로 유입되면서 물 속 조하대 어장이 개척되기 시작한다. 제주해녀들은 한동안 제제를 받지 않고 잠수를 하였고, 1960~70년대에는 해녀배 14척에 해녀 300여명이 상주할 정도로 활성화 된다. 그런데 해녀들이 잠수하는 어장은 마을어장으로 마을주민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해녀와 주민들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조하대의 나잠어장은 전통적으로 마을어장으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녀와 마을주민은 독자적으로 어장을 이용하였는데, 근대적 어업법이 제정되고 나잠어장도 마을어장으로 편입되면서 이해관계가 성립되기에 이른다. 처음에는 오로지 제주 해녀사업자와 제주해녀가 나잠어장을 개척하여 독점적인 소득을 올리다가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마을주민들이 해녀사업에 진출한다. 이때까지도 나잠어장은 일부 해녀사업자와 해녀들의 어장으로 이용될 뿐 마을어장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70년대 후반부터 양식어업을 시작하고 어업권과 면허지에 대해 인식하게 되면서 나잠어장도 마을어장으로 편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나잠어장은 잠수능력이 있는 해녀들만 입어할 수 있는 구역이었기 때문에 어촌계에서는 해녀와 계약을 통해 마을어장을 공유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어촌계가 마을어장을 공식적으로 관리하고 내부적으로는 통과 해녀가 어장을 공유하면서 공존하게 된다.
    그런데 1970년대 후반부터 전통적인 어업공동체 ‘통’은 급격히 쇠락하고, 해녀의 나잠어장은 어촌계에서 ‘빈매(임대)’로 운영할 뿐 실질적으로 마을의 공동체적 질서로 편입되지는 못한다.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부터 겪게되는 급격한 인구감소와 함께 양식어업의 등장, 자연산 해조류의 가치 하락, 나잠어장에 대한 관리미흡, 전통시대부터 이어져 온 농업의존적 상황 등이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하면서 전반적인 마을어장의 쇠퇴로 이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hanges of local fisheries in Cheong San island and the fishing community’s adaptation. Cheong San island is a half farming half fishing community that runs a traditional seaweed gathering community called “Tong”.“Tong” is a traditional fishing community that shares the local beach area in search of seaweed and evenly distributes the proceeds of their activities. It is unclear when the concept was first established, although it is clear that its roots run deep far into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historical times of poor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local natural seaweed took a major part in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and Tongs had an important part in leading the community of fishing villages.
    Traditionally, the village fishery meant the local intertidal areas where seaweed was gathered. Bu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eju Haenyeo started to move towards Cheong San island which introduced the development of subtidal fisheries. The Jeju Haenyeo were allowed to dive without any restrictions for a while and through the 1960s and 70s, there was a total of 300 active Haenyeos and 14 diver boats deployed in the area. Disputes between the Haenyeo and the locals were inevitable since the locals had priority access to fisheries. The subtidal fisheries were not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a part of the local fishery which had the Haenyeo and the locals independently utilizing them. With the establishment of fishing laws howeve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started to appear. At first, only the Jeju Haenyeo businesses and Haenyeos developed subtidal fisheries and monopolized the market, but by the end of the 1960’s locals started to enter into the market. Even until then, submerged fisheries were still only used by parts of Haenyo businesses and Haenyeos and not considered to be a part of the local fishery. The end of the 1970s brought the beginning of cultivating fisheries and as people star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ishing business rights and licensed areas, these fisheries were adopted as a part of the local fishery-however since Haenyeos who had the ability to dive were the only ones who could work on them, the fishing industry started to share the village fisheries by forming a contract with the Haenyeos. As a result, the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officially started to manage the local fisheries which helped to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ong and the Haenyeo.
    Tongs started to rapidly depreciate from the end of the 1970s and freediving Haenyeos were operating under a leasing contract, it was not truly included as a part of the local village community. It is widely considered that these events led to the rapid depreciation of the local fisheries,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from the 1970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cultivating fisheries, the depreciation in value of natural seaweed, a lack in management of free-diving fisheries and the reliance on farming industries rooting from traditional times and its negative eff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