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랑시에르의 미학적 공동체와 ‘따로․함께’의 역설 (Jacques Rancière’s Aesthetic Community: The Paradox of ‘Being Together Apar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3.06
29P 미리보기
랑시에르의 미학적 공동체와 ‘따로․함께’의 역설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명확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랑시에르의 미학적 공동체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학술적 접근
    • 🌈 정치와 미학의 교차점을 혁신적으로 탐구
    • 💡 현대 공동체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공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18권 / 1호 / 189 ~ 217페이지
    · 저자명 : 정혜욱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Jacques Rancière’s aesthetic community as the paradox of being together apart. An aesthetic community is not a community bound up with regionalism, school relations, and kinship but an infant community of sense produced through re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o reframe a new and equal common space. Rancière claims there is an ‘aesthetics’ at the core of politic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defines what can be visible or not in a common space. A community can be political when it makes forms of subjectivation for the uncounted appear.
    This paper tries to show why Rancière’s thought is important to the contemporary community discourses, examining both contributions and limits of those community discourses which focus either on being apart or on being together. Within Rancière’s three schemes of art regimes, being together belongs to the “representational regime of art” which erases the gap between poiesis and aisthēsis. In the “ethical regime of art,” the community of being together without mediation is celebrated by Plato. But Plato constructs a hierarchical opposition between activity and passivity, while the anti-representationists like Gilles Deleuze dismiss the real laws of our being together, celebrating the individuation and haecceities.
    Accordingly, both by questioning the ways in which the community is produced and by exploring the potentials of community entailed in separation itself, I’d like to show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ssibility of Ranciére’s aesthetic community.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Jacques Rancière’s aesthetic community as the paradox of being together apart. An aesthetic community is not a community bound up with regionalism, school relations, and kinship but an infant community of sense produced through re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o reframe a new and equal common space. Rancière claims there is an ‘aesthetics’ at the core of politic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defines what can be visible or not in a common space. A community can be political when it makes forms of subjectivation for the uncounted appear.
    This paper tries to show why Rancière’s thought is important to the contemporary community discourses, examining both contributions and limits of those community discourses which focus either on being apart or on being together. Within Rancière’s three schemes of art regimes, being together belongs to the “representational regime of art” which erases the gap between poiesis and aisthēsis. In the “ethical regime of art,” the community of being together without mediation is celebrated by Plato. But Plato constructs a hierarchical opposition between activity and passivity, while the anti-representationists like Gilles Deleuze dismiss the real laws of our being together, celebrating the individuation and haecceities.
    Accordingly, both by questioning the ways in which the community is produced and by exploring the potentials of community entailed in separation itself, I’d like to show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ssibility of Ranciére’s aesthetic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