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for AIP)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10
12P 미리보기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7호 / 355 ~ 366페이지
    · 저자명 : 장주영, 황용섭,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1인 가구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가구 구성대비 경제·건강·소외·무위 문제에 취약하여 사회·경제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노인공동체 주거는 노인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거주하고자 하는 욕구(AIP)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노인에게 안정적인 주거의 제공과 함께 지역 사회 참여를 높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AIP 실현할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노인공동체 주거의 공간적·사회적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노인의 특성과 국내 노인주거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노인과 공간공유 및 생활교류를 하는 개별 단위주택과 집합주택, 단지 또는 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AIP를 위한 주거환경의 공간적·사회적 분류기준을 도출하여 유형화한다. 넷째, 연구자가 제시한 유형화에 따라 연구 목적에 적합한 사례들을 분석한다. (결과) 노인공동체 주거를 건축 공간적 측면에서‘주택 형태’, 생활방식 측면에서의‘거주방식’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의‘관리 주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지원 서비스’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주택 형태’는 주로 공동주택 형식으로서 독립적인 개인 생활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거주방식’은 독립적인 개인 생활공간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많았는데, 특히 노인 전용은 전문기관이나 지역 사회에서 연속돌봄을 받는 경우가 뚜렷하게 많았다. ‘관리 주체’는 연령통합형의 경우‘자체관리형’, 노인 전용의 경우 ‘위탁관리’와 ‘혼합형’이 형태가 많았다. ‘지원 서비스’는 사회활동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는데, 이는 노인공동체 주거 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체 의식의 공유이며 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통해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높여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 노인공동체 주거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필수적인 주거 대안으로서 인식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노인공동체 주거계획 시 노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노인에게 익숙하거나 원하는 지역에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도록 AIP 개념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위한 공동체 활동과 연속적인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노후에 원하는 지역에서 자신이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주거 선택의 폭을 넓혀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의 삶과 고령 시대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국가와 민간업체 및 개인이 함께 참여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노인공동체 주거의 활성화를 위해 유형 개발, 유형별 계획방안 등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enters an aging society, a growing population of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is accelerating. Due to their vulnerability in terms of income, health, and life compared to other households, socioeconomic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is an alternative method to satisfy the senior’s need for AIP, which not only provides the housing stability but also reaches self realization by increasing the local society involvement.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he standard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al and spatial elements of the senior housing. (Research Method) To begin wi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the contemporary Korean senior housing. As the second step, the main target group is designated as a single house, community housing, housing complex, and community. Then the social and spatial categorization are identified for AIP. Finally, the appropriate cases are analyzed by the own justified standard types.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the senior housing as ‘dwelling type’ for architectural space; ‘residence type’ for lifestyle; ‘management authority’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support service’ for sustainability. As a result, first, the multi-family house accounts for a majority dwelling type which can share common facilities while guaranteeing privacy. Similarly, sharing common facilities with independent private space is a common type, especially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needs continuous care by specialized institution or community in the senior only residence. With regards to management authority, an age-integrated type is self-operated while trust management and mixed type for the senior only residence. Social activities are accounted for the major support service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and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eniors through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ultimately, they can live healthier. (Conclusio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for AIP shall be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aging society. For planning senior community housing, the AIP concept is essential to maintain seniors’ lifestyle in their preferred or familiar place with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 and desires. Moreover, such plans should consider a physical environment to accomplish continuous cares and community activities for their social engagement. A housing style based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s. Moreover, th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individuals n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o conduct detailed revitalization plan such as type development and planning, ultimately to expand the choice of housing where the seniors maintain healthier lifestyle and happiness in their favorit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