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로컬공동체의 ‘울력’ (‘Ullyeok’ of Local Community Fighting Against State Pow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10
30P 미리보기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로컬공동체의 ‘울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92권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옥선

    초록

    본 연구는 호모 사케르의 양상을 통해 국가권력의 폭력적인 통치 논리를 증명하는 연구에서 나아가 호모 사케르를 국가권력에 의한 로컬 해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용산, 거제, 밀양에주목한다. 로컬은 각각의 역사, 경제,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게 존재해 왔고 그에 따라 국가권력을 내면화하기도, 저항 지점을 마련하기도 하기때문이다.
    용산참사는 국가에 의해 ‘좋은 국민’, 즉 임의로 처분 용이한 개인만 남은 현실을 증명한 것이다. 황정은의 ‘그림자’는 국가권력에 우회해 저항한다. 하지만 ‘그림자’의 저항은 물리적 실체를 갖지 못한다. 로컬은 그림자들이 저항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토대이다. 그러나 로컬의 현실은더욱 열악하다. 국가 경제 성장의 중추인 조선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있는 거제는 오늘날과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 ‘거제 엑소더스’를 피할 길이 없다. 국가독점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폐해는 국가가 공간에 대한독점적 권력을 행사함으로써 로컬의 공간 주도권, 자율적 능력을 상실하게 만든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급선무는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연장선상(경제환원주의)에 놓인 로컬의 맥락을 전환하는 일이다.
    송전탑이 들어서기 전까지 밀양 마을은 한 번도 국가의 중심을 구성하는 내부에 포섭되어 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내던져짐’과 무관하게 마을 주민들의 삶은 오랜 시간 ‘울력’으로 이어 왔다. 울력은 ‘밀양 할매’들의 송전탑 투쟁이 전 세계적인 ‘탈핵’, ‘탈원전’ 운동과 연대할수 있는 힘이자 밀양 시민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데 크게 영향을 끼치고있다. 밀양 시민의 주체적 행위는 지자체의 태도, 언론의 보도 방향을 변화시키며 국민을 호모 사케르에서 시민이라는 국가의 핵심 주체로 전환시키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tudy aiming to prove aggressive governing logic imposedby state power through the aspects of Homo Sacer further to approach Homo Sacer as localdeterioration.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the study turns its eyes to Yongsan, Geoje, andMiryang. Locals have exi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istory, economy, and culture.
    Oftentimes they would internalize state power or establish a resistance base.
    Yongsan disaster is the proof of the reality where disposable individuals randomly selectedby state power remain. For the ‘shadow’ to resist it needs a local space for a foundation. Geojewhich is the city that relies entirely on ship building industry(state, huge capital) is facedwith the risk of local hollow out. The harmful consequence of state monopoly capitalism andneoliberalism is the state wielding exclusive authority over space. Thus the locals are losingtheir lead and autonomous power. What we need to do is to liberate locals from the grasp ofneoliberal sate monopoly capitalism.
    Before the introduction of transmission towers the villages of Miryang has never beenseized by the inner circle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state. However, the lives of the villagershave continued on as ‘ullyeok’ regardless of being ‘thrown away’ from the state. ‘Ullyeok’ isexerting a significant influence in empowering ‘Miryang’s Grandmas’ to ally with global‘antinuclear’ movements in their fights against the installation of transmission towers as wellas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citizens of Miryang. The autonomous actions taken by thecitizens of Miryang are transforming the people from Homo Sacer to the citizens who are thekey players within the state by changing attitude of local government and the direction of themedia rep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