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택의 공동체 지향 연출론: 공동체적 세계관과 미학의 발현* -1970년대와 80년대 대학 공동체 마당굿 퍼포먼스 연출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Director Yim Jin-Taek's Grounded Aesthetics of Community-based Theatr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2.12
44P 미리보기
임진택의 공동체 지향 연출론: 공동체적 세계관과 미학의 발현* -1970년대와 80년대 대학 공동체 마당굿 퍼포먼스 연출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48호 / 289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강임

    초록

    세계화로 파생된 경제주의의 원리가 공연 문화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현실에서 임진택 연출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 공연문화의 가까운 과거에 세계화의 부정적인 흐름에 맞서 (지역)공동체적 공연 문화를 지향하였던 우리 공동체 공연 문화 전통의 한 맥을 짚어보는 행위이다. 임진택 연출의 작업을 통하여 공동체 지향 문화를 살펴본다는 것은 우리 공연 문화사의 커다란 흐름을 이루고 있는 전통 문화의 현대화 작업을 다른 시각과 전망에서 새롭게 논의함을 의도한다.
    임진택 연출의 전통문화와의 관계는 한국 마당극 역사의 궤적을 추적하는 과정과 따로 떼어놓을 수 없다. 그는 다른 마당극 실천가들과 마찬가지로 과거 전통의 요소들을 차용함으로써 현재의 공연 문화를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임진택 연출은 공연을 통하여 ‘상상의 민족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제도권의 안과 밖에서 협소한 의미의 제도적이고, 엘리트적이고, 탐미적인 공연 문화를 확장하며 공연 문화를 우리의 생활과 아주 밀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고 우리가 누구이며 우리는 어떠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가하는 공연과 사회의 관계를 진지하게 고민하였다.
    임진택 연출은 가면극과 농악 등 민초들이 삶과 노동의 현장에서 공동체적 유대감을 경험하고 살아있는 공동체를 상상할 수 있었던 과거 전통 문화에서 현재가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소통할 수 있는 예술적 통로를 찾았다. 임진택이 창조한 마당극 전통은 가면극의 대리자(surrogate)로서 가면극의 공동체 연희 문화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전통이 공동체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살아있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민초들의 일상의 미학을 구현하였던 마당극은 살아있는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마당극 전통에서 오늘날 우리 공연인들이 취할 것이 무엇인지, 버릴 것이 무엇인지를 선택하는 것은 공연 문화 활동이 단순히 오락적 여흥거리를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상상하는 공동체는 어떠한지 하는 정체성에 관련한 아주 중대한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마당극 전통이 간과한 성역할과 소수자들에 대한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보고 공연을 통하여 민주적이며, 양성 평등적이고, 다문화적인 공동체의 구현을 위해 힘써야 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 공연 문화인들의 중요한 사회적 임무 중에 하나임에 틀림없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based on the theory of performance studies and community-based theatre, I venture to explicate the socio-political significance of director Yim Jin-Taek's community-based performance called 'madanggut', which is heavily based on elements of indigenous culture. Yim's madanggut utilizes elements of indigenous cultures and searches for 'the Korean ethnic (arche)type' as 'the ideal Korean type' or 'genuine Korean-nes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This paper interrogates the major task of Yim Jin-Taek's madanggut, which ideologically promulgates the idea of ethnocentric patriarchy supported by the traditional (mainly Confucianist) notion of 'community' ― inquiring if this type of theatre can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prospects for imagining a more democratic and plural civilian society in Korea today, when the interaction of globalization, nationalism, regionalism, and localism simultaneously impact our everyday life and cultural identification.
    Regarding the recent global phenomenon of the resurgence of nationalism, I looked at madanggut’s use of symbolic resources from the past for imaginative communal bonding as a nation. But, the claimed homogeneity of the national past by means of 'nation conflation' of different social groups is an illusionary conceptualization, and the national historiography silences memories of the marginalized groups and denies their histories.
    It is certain that in Korea nationalism has historically performed an important function during the colonization and democratization period. Nevertheless, as Yim's Nokdukkot realized,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the protecting man/the sacrificial woman' is contradictory to the plural and lateral thinking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community-building. It is time to think about a new political language that relates individuals to the community and nation. 'The ethnic type' cannot represent the whole nation and the members of the nation should be the examples of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for a more democratic society.
    I have selected Yim's several community-based works mainly from the 1970s to the 1980s since the works provide grounding images, symbols, metaphors, and allegories pertinent to discussing how 'the Korean ethnic community' has been narrativized through the performances of madanggut during the turbulent epoch of globalization. I hope that this paper presents Yim's grounded aesthetics of community-based theatre with fully contoured critical views and id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