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 적용의 실담범자(悉曇梵字)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딕세리프체(소망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Siddham Alphabet Applied Korean Alphabet -Focused on Gothic-serif(Somangche) Fo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06
14P 미리보기
한글 적용의 실담범자(悉曇梵字)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딕세리프체(소망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2호 / 89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응화, 왕용군, 전서영

    초록

    실담범자는 오래된 고전적인 글자체로 오늘날까지사용되고 있으나, 현대사회에 적합한 서체 디자인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실담범자 사용이 일부 사용자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나 연령대가 젊고 사용 빈도가 높은 다수의 사용자를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디자인이 어떠한 것인지 연구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한글 소망체를 참고하여 현대사회에 적합한 실담범자서체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소망체의한글 구조는 실담범자 구조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소망체는 직선인 고딕 구조에 부드러운세리프를 강조하여 만든 글씨체로서 현대적이며 세련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셋째, 명쾌하면서도 자연스러워 우리 시각에 익숙하고 친근감을 주는 서체이기때문이다.
    연구의 내용은 실담범자의 역사와 발전 및 현황을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한글을 적용한 실담범자 디자인 연구를 위해 한글 소망체와 실담범자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고딕세리프체 실담범자 모음과, 자음을 디자인하였으며, 개발된 서체를 적용하여 산스크리트어 철학문헌 「우파니샤드」 책표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사회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층화 추출방법과 척도법을 사용하여문자의 조형적 심미성 평가 측정기준을 근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스크리트어에 관심이 많은 중국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의10개 지역을 구분하여 20∼30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중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274개를 회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실담범자의소비자 조사에서 기존의 서체보다 조화롭고 통일성이있는 특징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성있는 단순한 고딕세리프는 가독성을 높이는 것으로확인되었으며, 현대 사회와 잘 맞는 디자인이라는 좋은 반응이 있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복잡한 형태의 특정 단어 조합을 통한 소비자 조사에서는통일성과 비례 및 질서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찾을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복잡한 구조의 단어 합자(合 字)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담범자의 우수성은 같은 계열의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다른 문자 보다 심플하여 학습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현대사회에 유용한 실담범자의 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이를 통해 다양하게 발전되어 산스크리트어 사용에주 표기 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Siddhaṃ script is an old classic style of writing that is still used up to nowadays. However, it is a typeface design quite unsuitable for modern society, due to its in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for finding design which satisfies many young and frequent users, even if they are limited to a small group.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ould study Siddhaṃ script typeface design appropriate for modern society by referring to Hanguel Somang typeface for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Hanguel Somang font is very similar to the Siddhaṃ script structure. Moreover, the Hanguel Somang font is a writing style which emphasizes soft serifs in a straight Gothic structure, giving it a modern and refined look.
    Finally, it is a typeface that is clear and natural, giving us a familiar and friendly imp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design of Siddhaṃ script with a Korean applic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ddhaṃ script and Hanguel Somang font and designed the collec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a Gothic serif design.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design proposal, the book cover of Sanskrit’s philosophical literature ‘Upaniṣad’ was designed with the newly developed typefac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sumers, the stratification extraction method and scale method commonly used in social statistics were appli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ering criteria for the formative aesthetic evaluation of lett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hinese people interested in Sanskri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in twenties and thirties with a group division of 10 regions in China (Guangdong, Beijing, Zhejiang, Shanghai, Sichuan, Shandong, Jiangsu Fujian, Henan and Liaoning), and 274 cases were retrieved analyzed, excluding the missing data. According to the study, a consumer survey of Siddhaṃ script with Hanguel Somang font was preferred over other conventional typefaces due to its harmonious and unifying features.
    Furthermore, a simple, unified Gothic-serf style has been confirmed to enhance readability. However, responses revealed that specific word combinations with complex integ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showed a lack of unity, proportionality and order.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a design study of more complex structure word combinations. This research aims to work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iddhaṃ script typefaces, and expects fur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