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체중 상태와 관련한 식생활 및 생활습관 요인 분석: 2017-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7–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9.12
11P 미리보기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체중 상태와 관련한 식생활 및 생활습관 요인 분석: 2017-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4권 / 6호 / 465 ~ 475페이지
    · 저자명 : 송수진, 송효준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7-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체중 상태를 평가하고, 체중 상태와 관련한 식생활 및 생활습관 요인을 파악하였다. 성별, 연령별 BMI 백분위수를 고려하여 체중 상태를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과체중/비만 유병률은 20.9%, 저체중은 7.4%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교급, 거주 지역, 가구 소득에 따른 체중 상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문화가족 청소년 중 최근 7일 동안 아침 식사를 하루도 하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3-4일 섭취한경우와 5일 이상 섭취한 경우 과체중/비만 유병 위험이 각각42%, 37% 낮았다. 또한 탄산음료를 주 5회 이상 섭취한 청소년은 탄산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과체중/비만의 유병률이 1.6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지 않다고 인식하는 청소년과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에서 과체중/비만 유병 위험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저체중과 관련한 식생활 요인으로 패스트푸드를 주 3회 이상 섭취한 청소년은 전혀 섭취하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저체중 유병 위험이 1.97배 높은 것으로나타났으며, 라면이나 스낵류 섭취 빈도가 주 3회 이상인 경우 저체중 유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체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이들의 식생활에 대한 질적, 양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건강 격차를 줄이기 위한 영양 중재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sults: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was 20.9%, whereas about 7% of adolescents were underweight. The weight status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area of residence, and household income.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have breakfast during the previous week, those who had breakfast 3-4 days/week and ≥5 days/week had a 42% (p=0.021) and a 37% (p=0.009) lower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respectively. The adolescents who frequently consumed carbonated soft drinks (≥5 times/week) showed an odds ratio (OR) of 1.69 (95% CI=1.01-2.83) for overweight/obesity relative to those adolescents who did not consume carbonated soft drinks. The OR of being underweight for adolescents who ate fast food ≥3 times/week was 1.97 (95% CI=1.04-3.71) compared to those adolescents who had not eaten fast food during the previous week.
    Conclusions: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as well as underweight among Korea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Our findings could be used to design and provide nutrition interventions for this specific population.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weight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1,751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s. Information on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was self-reported using a web-based questionnaire and this information included breakfast and foods consump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lcohol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efforts.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elf-reported height and body weight (kg/m2 ). Weight status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 underweight (weight-for-age <5th percentiles), overweight (85th≤ BMI-for-age <95th percentiles), and obese (BMI-for-age ≥95th percenti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status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Results: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was 20.9%, whereas about 7% of adolescents were underweight. The weight status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area of residence, and household income.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have breakfast during the previous week, those who had breakfast 3-4 days/week and ≥5 days/week had a 42% (p=0.021) and a 37% (p=0.009) lower prevalence of overweight/obesity, respectively. The adolescents who frequently consumed carbonated soft drinks (≥5 times/week) showed an odds ratio (OR) of 1.69 (95% CI=1.01-2.83) for overweight/obesity relative to those adolescents who did not consume carbonated soft drinks. The OR of being underweight for adolescents who ate fast food ≥3 times/week was 1.97 (95% CI=1.04-3.71) compared to those adolescents who had not eaten fast food during the previous week.
    Conclusions: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as well as underweight among Korea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Our findings could be used to design and provide nutrition interventions for this specific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