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성폭력의 치유양상 연구 (A Study on the Course of Healing the Sexual Violence in the Adolescence Novel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2.12
24P 미리보기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성폭력의 치유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24호 / 307 ~ 330페이지
    · 저자명 : 음영철, 진은경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성폭력을 다룬 청소년 소설을 대상으로 그 치유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성폭력의 피해자들이 겪게 되는 후유증이 치유될 수있기를 바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금이의 『유진과 유진』은 성추행을 당한 두 여학생의 상반된 초기 대처로 인해 치유 양상이 다르게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억압된 기억은 시간이 지난다고 잊히는 것이 아니고 본인의 자기 치유가 있어야 가능하다.
    둘째, 티에리 르냉의 『운하의 소녀』는 성추행을 당한 사라가 자신의 몸을 학대하거나 인형을 학대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치유하고자 한다. 그러나 담임 선생님을 통해 자신의 잘못이 아님을 깨닫고 자기감을 회복한다.
    셋째, 베아테 테레자 하니케의 『빨간 모자 울음을 터뜨리다』는 친족성폭력을다룬 청소년소설로 할아버지의 성추행을 말하지만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한다. 그러나 말비나는 자신을 지지해주는 친구들의 도움으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자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치유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청소년소설이 문학적 치유의 한 가능성을 밝혔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the proliferation of sexual violence in adolescent novels and how it can be reversed. I hope that through this study the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hese acts of sexual violence will recover from the wounds they may have received from their experiences.
    The novel Eujin and Eujin by Lee Geum-yi tells us that the process of healing differs when the parent’s daughter was sexually abused. The memories of the experience will never go away, but healing is only possible when the girls themselves are ready by their own choice.
    In the novel Fille Du Canal by Thierry Le Nain, Sara the main character,who also has experienced sexual abuse, tries to heal herself by abusing her own body and that of her doll. However, she is able to recover after realizing her mistakes by receiving help from her homeroom teacher.
    Rokäppchen muss weinen by Beate Theresa deals with kinship sexual abuse. In the novel, Malbina’s grandfather commits an act of sexual abuse, and thus is turned away from the family. Malbina, however manages to recover herself with the help of her friends and tries to maintain her rights.
    This study, I think, presents a possible course of literary healing through speculation of the course of treatment of what we call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that the characters have gone throug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