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盛世’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Imperial Guest Banquets of the Late Qianlong Reign: Qianlong's Project of Constructing an Image of the 'Grand Prosperity and Peace')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8.11
50P 미리보기
淸 乾隆 연간 外藩 宴禮의 변화와 乾隆의‘盛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68호 / 147 ~ 196페이지
    · 저자명 : 구범진

    초록

    근년 들어 적잖은 논자들이 근세 동아시아의 장기 평화가 청의 조공 시스템 덕분에 가능했으며, 청의 조공 시스템이 21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건륭제에 의해 완성된 청의 거대 제국 건설이 누르하치 이래 약 180년에 걸친 장기적인 군사 정복의 결과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망각한 것이라는 비판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같은 종류의 비판을 반복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그 대신에 청이 언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제국의 호전적 이미지를 ‘평화적 국제질서의 주재자’라는 이미지로 대체하기 시작했느냐는 문제를 고찰한다. 고찰의 직접 대상은 매년 연말연시 북경의 청 궁정에서 개최되던 각종 세시 행사, 그 중에서도 특히 황제가 직접 주재한 주요 연회이다.
    묵은 해를 보내는 제석과 새해를 맞이하는 원단은 입관 전 만주인들의 최대 명절이었다. 만주인들의 신년 축하 행사에는 그들과 동맹관계에 있던 몽골의 왕공들도 참여하였다. 입관 이후 청조는 몽골의 왕공들에게 매년 연말연시 북경의 황제에 대한 조근을 의무화하였는데, 이를 연반 조근이라고 한다.
    제국의 팽창이 마무리된 18세기 후반, 건륭제는 연반 조근을 위해 북경에 온 외번의 왕공들을 위해 세 차례의 연회를 개최하고 있었다. 이들 연회는 기본적으로 외번의 왕공들을 접대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주로 자광각에서 열리던 신년 정월 초의 연회만은 신강 회부의 무슬림 벡 관원들과 사천 서부 금천의 토사들도 참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을 위시한 외국의 사신들에게는 세 차례의 연회 모두 문호가 닫혀 있었다.
    그러나 건륭제는 1780년대에 이르러 연회 참석자의 범위를 대거 확대하였다. 그는 세 차례의 핵심 연회 및 궁정의 각종 세시 행사에 조선을 비롯한 외국의 사신들을 초대하기 시작하였다. 종래 자광각의 연회에만 참석하던 회부의 무슬림 벡 관원들과 금천의 토사들도 나머지 두 연회에 초대되었다. 그 이후 이러한 방식이 청 궁정의 새로운 관행으로 확립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도입은 건륭제의 ‘기획’에 따른 것이었다. ‘기획’의 의도는 자신이 이룩한 ‘盛世’를 과시하며 “懷柔遠人”・“一視同仁”의 이미지를 창출・강화하는 데 있었다. 이 무렵부터 조선의 대청 인식에 뚜려한 변화가 나타난 것도 우연만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 건륭제가 애초에 기대한 것은 아닐 터이지만, 제국 건설 과정의 폭력과 전쟁을 망각한 채 청의 황제를 ‘평화적 국제질서의 주재자’로만 기억하는 21세기 초의 논자들이야말로 건륭제의 ‘기획’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not a few scholar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argued that the tribute system of the Qing empire made possible the prolonged peace of early modern East Asia, and attempted to find a model for the fu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Qing precedent. However, other scholars, pointing to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Qing empire was built not by peaceful means but by a series of military conquests from the early 1580s to the late 1750s, have persuasively refuted that argument. Therefore, it is superfluous to add here one more rebuttal. Focusing upon the New Year celebrations in the Qing court among other politico-ritual activities in Beijing, this article explores when and how the Qing empire diluted and substituted the historical momory of its violent expasions for an image of the benevolent master of the grand peace and prosperity under its hegemony.
    In the Manchu cultural tradition, the New Year's Day was the most important day in the year. Well before its conquest of China, the Manchu court established state rituals celebrating the New Year along with Mongol princes and nobles, its political and military allies. Having moved its capital from Mukden to Beijing, the Qing court made it a tributary duty for all the Mongol princes to pay personal visits to Beijing on a rotational basis and attend the New Year celebrations.
    The Qianlong emperor, who completed the historical process of Qing imperial expansion, inherited from his predecessors the tradition of the New Year celebrations and made further developments. Under his rule, the New Year celebrations were characterized by three guest banquets presided by the emperor himself. The first imperial banquet was held on the Eve of the New Year's Day, the second on one of the first days of the New Year, and the third on the fifteenth day of the New Year. The invitees to the imperial banquets were basically restricted to the nomadic princes and nobles. There was, however, an exception: the second banquet, the venue of which was usually the Ziguangge 紫光閣, included among its invitees the Muslim beg 伯克 officials from East Turkistan and the Tibetan tusi 土司 chieftains from western Sichuan.
    In the early 1780s, Qianlong introduced a significant change to the New Year celebrations by widening access to the imperial banquets. He began to invite the envoys from foreign rulers such as the king of Chosŏn to all of the three major banquets as well as other diverse court entertainments. Along with foreign envoys, Muslim beg officials and Tibetan tusi chieftains were also invited to the other two banquets that had seldom, if ever, been open to them before. Qianlong continued these acts of special favors upon new invitees into a new court convention by repeating them annually. His successors also abided by Qianlong's new convention.
    It was none other than Qianlong himself that initiated this kind of institutional innovation. Qianlong's initiative was designed not only to boast and commemorate his own lifetime achievement of the imperial prosperity and grand peace, but also to construct and/or reinforce his image of the benevolent Son of Heaven who ‘cherishes men from afar’ and ‘bestows equal favors on all.’ It cannot be attributed to a simple coincidence that the decades of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witnessed more and more Chosŏn literati changing their attitude toward the Qing dynasty and even recognizing its legitimacy. And in a historical sense, the aforemetioned false and misleading arguments of some scholar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may be considered an unintended consequences of Qianlong's politico-diplomatic pro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