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OVID-19 유행 전후 음주 청소년의 담배제품 다중사용 과 폭음: 2017-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Using Multiple Tobacco Products and Binge Drinking among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for 2017–2021)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2.06
11P 미리보기
COVID-19 유행 전후 음주 청소년의 담배제품 다중사용 과 폭음: 2017-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금연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금연학회지 / 13권 / 2호 / 53 ~ 63페이지
    · 저자명 : 정진솔, 김희진

    초록

    연구배경: 담배제품 이중 사용 청소년은 폭음 위험이 높다고 보 고되었다. 그러나, 가열담배(heated tobacco product) 사용 을 포함한 삼중사용과의 관련성, 특히 COVID-19 유행으로 인해 흡연, 음주양상이 변화된 기간에 대한 분석은 충분치 않다. 방법: COVID-19 유행 전후인 2017-2021년 5개년간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에서 현재 음주 청소년을 분석하여, 담배제품 다중사용, 폭음, 동시행위의 연도별 추이를 분석하였다. 담배 제품 단일, 이중, 삼중사용은 일반 궐련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가열담배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 갯수로 정의하였다. COVID-19 유행 전후인 2019, 2020년 음주 청소년 14,268명 의 담배제품 다중사용과 폭음 간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복합표본설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현재 음주 청소년 중 전체담배제품사용자는 2017년과 2021년 큰 변화가 없고, 단일제품사용자는 감소한 반면, 2020 년에는 다중사용이 감소했다가 2021년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담배제품 이중 사용자’는 2017년 18.6%에서 2021년 23.2%로 증가했으며, 폭음군에서도 2017년 12.5%에 서 2021년 16.4%로 증가하였다. 2019년 현재 음주 청소년은 비흡연자에 비해 담배제품 과거사용자, 단일, 이중, 삼중사용자 인 경우 폭음 위험이 높았고(과거사용자 aOR 1.58, 95% CI 1.30-1.91; 단일사용자 aOR 2.98, 95% CI 2.36-3.75; 이중 사용자 aOR: 2.53, 95% CI: 1.87-3.41; 삼중사용자 aOR 2.66, 95% CI 1.91-3.71), 2020년에도 폭음 오즈비가 유의하게 높았 다(과거사용자 aOR 2.03, 95% CI 1.64-2.51; 단일사용자 aOR 2.78, 95% CI 2.15-3.60; 이중사용자 aOR: 3.13, 95% CI: 2.17-4.51; 삼중사용자 aOR 4.02, 95% CI 2.37-6.81). 결론: COVID-19 유행 기간 청소년 흡연, 음주 감소에도 불구하 고, 음주청소년 중 담배제품 이중사용자는 최근 증가추세를 보였고, 이중, 삼중사용자는 폭음 위험이 높았다. 청소년 건강위험 행동 격차 심화를 막고 다중 물질사용을 예방하기 위한 통합적 예방 접근과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dolescent dual users of tobacco products are at a high risk of binge drinking. However, changes i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cluding the use of heated tobacco product (HTP), have remained unknown. Methods: This study is cross-sectional in nature and uses self-reported survey data from 2017-2021 for individuals aged 13-18 years derived from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For analysis, the study included 7,201 binge drinkers and 7,067 nonbinge drinkers. Single, dual, and triple use of tobacco products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products used such as cigarettes, e-cigarettes, and HTP. The study employed logistic regression with a complex sample design to compute for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binge drinking in 2019 and 2020. Results: Among the current drinking youth, the total number of uses of tobacco produc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etween 2017 and 2021, and the number of users of single products decreased, whereas multiple usage decreased in 2020 but returned to the level as 2019 or before. The number of dual users of tobacco products increased from 18.6% in 2017 to 23.2% in 2021. Being an exsmoker and a single/dual/triple user wa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in 2019 (Exsmoker aOR: 1.58, 95% CI: 1.30-1.91; Single user aOR: 2.98, 95% CI: 2.36-3.75; Dual user aOR: 2.53, 95% CI: 1.87-3.41; Triple user aOR: 2.66, 95% CI: 1.91-3.71), and the association was also significant in 2020 (Exsmoker aOR: 2.03, 95% CI: 1.64-2.51; Single user aOR: 2.78, 95% CI: 2.15-3.60; Dual user aOR: 3.13, 95% CI: 2.17-4.51; Triple user aOR: 4.02, 95% CI: 2.37-6.81). Conclusion: Despite the decrease in smoking and drinking among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number of dual, triple users of tobacco products among adolescents who engage in drinking has recently increased. Moreover, dual and triple users have displayed high risks of binge drinking. Thus, the study suggests that an integrated preventive approach and research are required to prevent the widening of the health risk behavior gap and multiple substance use among adolesc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