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益山 靑銅器文化圈과 馬韓 (Bronze Ware Cultural Sphere in Iksan and Mahan Kingdo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益山 靑銅器文化圈과 馬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한백제문화 / 23권 / 25 ~ 51페이지
    · 저자명 : 김규정

    초록

    익산지역 청동기문화는 간헐적으로 수습된 청동유물을 통한 연구에서 청동기문화의 중심분포권으로 인식되었다. 1990년 후반부터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다양한 유적이 조사되면서 청동기문화의 실체가 명확해졌다.
    본고에서는 익산지역 청동기문화를 청동기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후기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동경․동검 등 순수 청동유물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반과 철기가 공반되는 후반으로 구분하였다. 전반은 다뉴조문경, 세형동검, 동착, 동포, 동과 등의 청동유물과 원형점토대토기, 흑색마연장경호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유적은 오룡리, 용기리, 구평리, 서두리 등에서 (목관)토광묘가 확인되었다. 생활유적은 용기리에서 주거지 1기가 조사된 것을 제외하면 아직까지 확인된 유적은 없다. 후반은 세형동검과 함께 철부, 철사, 철촉 등 철기가 공반된다. 토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유적은 신동리, 계문동 (목관)토광묘와 구평리와 어양동에서 옹관묘가 조사되었다. 생활유적은 아직까지 확인된 예가 없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청동기시대 후기의 전반은 燕나라 장군 秦開의 동방경략에 따라 청동기를 기반으로 고조선의 유민들이 유입되면서 금강유역에 정착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그 시기는 기원전 4세기를 전후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반은 위만조선의 성립과 준왕의 남하, 秦漢의 교체 등 청동기와 함께 戰國 燕나라 철기가 유입되면서 馬韓이 성립된다. 곧 마한의 성립에는 중국 戰國鐵器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시기는 기원전 2세기를 전후할 것으로 보인다.
    익산에서 지금까지 청동유물이 출토된 유적은 북부지역에 집중되며 『帝王韻紀』, 『高麗史』 地理志, 『世宗實錄』 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등 대부분의 기록에 준왕의 남천지를 金馬郡으로 보고 있어 익산이 준왕과 관련하여 초기 마한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馬韓 초기 가장 강력한 小國 가운데 하나인 乾馬國의 중심지는 만경강을 중심으로 하는 익산지역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On the ground of studies on bronze ware remains collected intermittently in Iksan, this area has been believed as the central part of the bronze ware culture. As the large scale excavation and research project embarked there starting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to investigate various remains during the former to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it has become clearly known what the bronze ware culture really was there.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bronze ware culture in Iksan area with a focus on the relics in it where bronze wares were collected, assuming them to belong to the la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he period was divided further into the former part when bronze remains like bronze mirrors and bronze daggers were used exclusively and the latter part when iron wares were used together with bronze ones. The former part was characteristic of such bronze remains as mirrors with coarse lines, slender bronze daggers, bronze chisels, bronze ornaments, bronze spears, etc.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of round type and black polished earthenware with long neck. Wooden coffins in pit tombs were excavated from the relics in Oryong-ri, Yonggi-ri, Gupyeong-ri and Seodu-ri. With regard to dwelling sites, no remains have so far been found except one surveyed in Yonggi-ri. From the remains of the latter part, such assemblage as iron axe, iron wire and iron pen have been unearthed in addition to slender bronze daggers. Earthenwares are characteristic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ies which were unearthed from the wooden coffins in pit tombs in the relics of Sindong-ri and Gyemun-dong and from the jar coffins in Eoyang-dong. No dwelling sites have been confirmed so far.
    As far as the unearthed relics are concerned, they are presumed to belong to the later period of the Bronze Age when the migrants of Old Choseon Kingdom streamed in as part of the East Expedition of Yan general Qin Kai and settled on the river basin of the Geumgang River with bronze wares.
    This period is deemed to correspond approximately to the 4th century BCE. In the latter period, however, Mahan was built as a kingdom following establishment of Ueman Choseon, southward coming of King Jun, changeover of Qin to Han and influx of iron as well as bronze wares of Yan in the Age of Civil Wars in China. In other words, the iron wares of the Age of Civil Wars must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ahan Kingdom before or after around the 2nd century BCE.
    The relics of bronze wares have been unearthed predominantly in the northern area of Iksan. As most historical records such as『Jewangun-gi 帝王韻紀』, 『Koryosa Jiriji 高麗史』 地理志, 『Sejongsil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New Version of Donggu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etc. pointed Geumma-gun as the capital site where the King Jun's southern advance ended up, suggesting that Iksan was the center of Mahan in the beginning. Accordingly, it might also be presumed that Iksan surrounded by the Mangyeonggang River was the center of Geonma Country, one of the strongest statelets in the beginning of Mahan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한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