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대 중국 “⼤淸萬年⼀統圖” 系統 天下圖에 나타난 天下像과 天下觀 -1767년 黃千人 板本의 『⼤淸萬年⼀統天下全圖』을 중심으로- (The Representation and Perception of the World in Qing Dynasty China’s “DaQingWannianYitongTu(⼤淸萬年⼀統圖)” World Maps: Focusing on the 1767 Edition of “DaQingWannianYitongTianxiaQuantu(⼤淸萬年⼀統天下全圖)” by Hu)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5.01
41P 미리보기
청대 중국 “⼤淸萬年⼀統圖” 系統 天下圖에 나타난 天下像과 天下觀 -1767년 黃千人 板本의 『⼤淸萬年⼀統天下全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비교중국연구 / 6권 / 1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이호

    초록

    본고는 황천인 판본의 『대청만년일통천하전도』를 중심으로 “대청만년일통도” 계통 천하도가 지닌 지도학적 특성, 천하의 묘사 방식, 그리고 천하관의 내용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대청만년일통도”는 1673년에 황종희가 제작한 제목이 없는 “중국 지도”이다. 황씨의 지도가 등장한 이후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판본이 제작되었으며, 그중 1767년에 그의 손자인 황천인이 제작한 『대청만년일통천하전도』가 가장 이른 시기의 정형화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는 “대청만년일통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황천인 지도를 통해 나타난 천하의 전체 윤곽과 각 지역의 세부 특징을 검토하면, “대청만년일통도” 계통의 천하도는 중국 중심 천하관의 기본 원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중국과 주변국에 대한 묘사 및 인식에서 상당한 변화를 보여준다. 우선, 중국의 새로운 주인인 청나라의 행정구역 재편과 강역 확장에 따라, 중국 본토는 물론 만주와 대만 같은 이전 이민족 지역이 중국 본토와 동일시되었고, 최신 지리 정보가 상세히 기록되었다. 다음으로, 몽골, 서역 신강, 청해, 티베트 등 주변 지역은 청나라의 새로운 강역인 번부로서 다른 주변국들과는 다르게 특별히 강조되어 묘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선, 일본, 유구, 안남 등 기존 조공국 외에도 17~18세기에 두드러진 동남아시아와유럽 대륙의 나라들에 대한 지리 정보가 다수 포함되었다. 반면, 『산해경』에 등장하는 신화와 전설 속 나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대청만년일통도”의 제작자가 새로운 세계 지리 지식을 인정하면서도, 중국 중심의 천하관을 바탕으로 전성기 청나라의 천하 질서에 이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artographic characteristics, depiction methods, and content and meaning of the worldview inherent in the "DaQingWannianYitongTu" World Maps: focusing on the version produced by Huang Qianren. The oldest identifiable version of the "DaQingWannianYitongTu" is an untitled "Map of China" created in 1673 by Huang Zongxi(黃宗羲). Following the appearance of Huang's map, various editions were produced, among which the "DaQingWannianYitong TianxiaQuantu" created in 1767 by Huang Qianren, Huang Zongxi’s grandson, is considered the earliest standardized work. This map has come to represent the "DaQingWannianYitongTu" tradition. Examining the overall outline of the world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depicted in Huang Qianren's map reveals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piction and perception of China and surrounding regions, while adhering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 China-centric worldview. First, in line with the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d territorial expansion of Qing China, regions previously considered non-Chinese, such as Manchuria and Taiwan, were assimilated into the concept of mainland China, with detailed and updated geographical information recorded. Second, surrounding areas like Mongolia, Xinjiang, Qinghai, and Tibet, which became new territories (referred to as FanBu(藩部) or "tributary states") of the Qing Empire, were depicted with special emphasis, differentiating them from other neighboring countries. Finally, alongside traditional tributary states like Joseon, Japan, Ryukyu, and Annam, the map included extensive geographical information about Southeast Asia and European countries, which had become prominen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owever, mythical and legendary countries mentioned in texts like 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Shan Hai Jing, 山海經) were entirely absent. These changes reflect the cartographer’s efforts to integrate new global geographical knowledge into the Qing Empire's China-centered worldview while portraying the world order during the peak of Qing domi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