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의 건강 및 체력 담론 구성의 이해: 한국계-캐나다 청소년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f Adolescents’ Discursive Constructions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n Exploration of Korean-Canadian Youth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7.08
21P 미리보기
청소년의 건강 및 체력 담론 구성의 이해: 한국계-캐나다 청소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0권 / 2호 / 175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경임, 제네비브 레일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건강과 체력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이를 위해 무엇을 실천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계-캐나다 청소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류 건강 및 체력담론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의미화하여 생활에서 실천하는가하는 담론적 의미구성 및 그 실천과정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문제제기와 자료 수집 및 해석의 논리적 근거는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영향과 도움을 받았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9명의 한국계-캐나다 청소년들과의 심층면담자료를 28개월에 걸쳐 수집,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은 서구 앵글로색슨계의 주류 건강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자기 자신만의 건강 및 체력담론을 구성하는 과정에서도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청소년들의 건강 및 체력담론은 주류건강담론에서 뚜렷하게 강조하고 있는 외모와 자기규제로서의 신체활동을 중요한 건강 및 체력담론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성별에 따라 몸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를 강조하였고, 인종 및 한국문화의 영향은 배제하거나 저항하는 방향으로, 주류 비만담론에 밀접하게 관계되어 체중 및 신체의 모양과 외모에 중점을 두고, 육체적인 개념으로 몸과 관련된 것으로, 건강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건강과 체력개념이 혼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담론화하였다. 이들 담론의 수용, 체화, 실천 및 저항의 권력관계에서 아시아계 학생에 대한 인종적 고정관념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모범적 소수인종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기대수준은 청소년의 주체적 자아형성에 일종의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건강과 체력의 실천은 재정적 뒷받침, 시간사용 및 자기규율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비용이 들지만 한국계-캐나다 청소년들에게 건강과 체력의 실천은 캐나다 사회에 대한 일원으로서의 소속감과 그 문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있다는 느낌 및 주체적 자아형성의 지식 및 실천체계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young people make sense of their own notions of health and fitness, as well as what they practice for their health and physical fitnes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Korean-Canadian youth negotiate dominant body and health discourse,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s of health and fitness, and introduce health practices into their daily liv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in-depth conversations with nine Korean-Canadian adolescents. Post-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t Feminism guided us for framing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 the study. Our results show how these young people appropriate elements of dominant Anglo-Saxon health discourses to elaborate their own discursive construction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Furthermore, the youth speak of the importance of bodily shape and appearance, and of physical activity as a self-disciplinary practice that is clearly emphasized in dominant body and health discourses. In depth, they accentuate the binary notion of fe/male body and stress the gendered body as healthy and acceptable in their discursive constructions; eliminate and resist the Korean ethnic and cultural impact on their construction; centralize the matter of body weight and fat in their notion of health and fitness; construct it as a corporeal notion; put stress on self-responsibility; and conflate notions of health and fitness. In the power relations of negotiation, acceptance, embodiment and practices, as well as resistance to these discourses, the model-minority stereotypes on Asian students play a major role as the ways that limit the adolescents’ experience and their subject positions. In that sense, health practices are very costly for Korean-Canadian adolescents in terms of money, time allocation, and self-discipline, but they are valuable to them as they are perceived as ways to successfully integrate Canadian culture and ways of “belong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