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문학과 21세기 소녀의 귀환 -여성작가의 청소년 소설을 대상으로 (A Study on Adolescent Literature and Return of 21st Girl -Adolescent fiction of Woman Writer-oriente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청소년 문학과 21세기 소녀의 귀환 -여성작가의 청소년 소설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4권 / 24호 / 293 ~ 326페이지
    · 저자명 : 김은하

    초록

    최근 소녀는 지배 문화를 횡단하고 반란하는 능동적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청소년 문학에서 소녀들의 성장은 더 이상 아버지의 법 속으로 들어감으로써순응적 여성성을 획득하는 희생적 통과제의의 시간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가일어나게 된 계기로 아이엠에프로 인한 부권의 추락과 페미니즘 대중화 이후여성작가의 활발한 창작활동을 들 수 있다. 여성작가들에 의해 청소년 문학에서 아버지들이 사라지고 있는 한편으로 어머니와 딸의 이자(二者) 관계가 절대화되면서 ‘오이디푸스 가족 로맨스 플롯’이 무너지고 있다. 어머니와 딸의분리 혹은 배반은 성장의 필수적인 절차가 되지 못하며, 오히려 이자 관계의회복이 서사적 목표로 제시된다. 청소년 문학 속의 소녀는 ‘여성문학’ ‘페미니즘’ 이후를 보여주는 문제적 주인공이다. 그런데 청소년의 성장에 아버지가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해 지면서 모자관계는 또 다른 의미에서 갈등과 투쟁이 될 수 있음이 징후적으로 드러난다. 전능한 어머니의 환상은 딸을 어머니의 지배 하에 가두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소녀들은 여성작가들에 의해 비로서 백치같은순수나 가엾은 희생자가 아니라, 성욕을 가진 몸 혹은 임신과 출산의 기능을갖춘 성숙한 육체로 귀환한다. 이는 소녀가 성이 분화하기 이전의 천진한 유아가 아니라 욕망하고 생식하는 몸의 주체로 재인식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현실 속의 소녀들이 스스로의 육체를 유희와 전복의 장으로 삼는데 반해 성인 작가들에게 십대의 성은 불안 혹은 공포로 경험되기 때문에 소녀의섹슈얼리티는 본격적으로 말해지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성녀와 악녀라는편협하면서도 억압적인 이분법을 가로지르며 소녀 루저들이 등장해 새로운모험담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그간 동화-청소년 문학에서 소녀-여성 들은 도처에 편재하는 로망스 플롯에 묶여 모험의 길을 떠날 수 없었던 점을 고려해보면 이러한 변화는 획기적이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도전의식과 자신감으로무장한 채 경계를 넘어 횡단하는 이들 모두에게 누구나에게 문을 열어주는자기계발 담론과 손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영어초록

    Recently, a girl is showing up as an active subject who cuts dominant culture and revolts against it. In the adolescent literature, the growth of girls is no more the sacrificial pass time where gains adopted feminist as entering the law of father. It can be to say that has resulted from the active creative activities of women writers since paternal authority fell and feminism popularized due to IMF. While a father is disappearing in the adolescent literature by women writers, 'the romance plot of an Oedipus family' is destroying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abslutized.
    Separation mother from daughter or betrayal is no more essential procedures of the growth; rather, recovery of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presented as a narrative goal. The girl in an adolescent literature is problematic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time after 'feminist literature' and 'feminism'.
    However, while the influence of father is getting slight on the growth of adolescence, it is potentially showing up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may be come in conflict and struggle. The illusion of omnipotent mother can be caused that puts the daughter under the mother. On the other hand, at last,the girls return to the adult body which can get sexual desire or which can get a function of being pregnant and giving a birth, not purity such as an idiot, or a poor victim.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w understanding of a girl who is not innocent child before differentiation of gender, but a main agent of a body. But, on the one hand, the girls in the reality makes their body be a place to have a pleasure or to overturn, for the adult artists, it is that the sex of adolescent can't legitimately be mentioned ty them because they have been experienced this as anxiety or fear. On the other hand, it felt out the possibility of new adventures by appearing girl losers cross over dichotomy but a repressive intolerance between the virgin and the villainess.
    For the meantime, in the fable-adolescent literature, when we consider that girls-women could not leave toward the road of adventure locked by the romance plot which is scattered everywhere, this change is breakthrough.
    However, we are concerning whether the feminism is holding hands with self-development discourse which can open a door of it for everybody who passes over a border arming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