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와 찬집청 운영 (The Editing of the Gukjobogam (國朝寶鑑) and the Management of the Chanjipcheong (纂輯廳)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8.12
47P 미리보기
정조대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와 찬집청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3호 / 311 ~ 357페이지
    · 저자명 : 조계영

    초록

    조선후기에는 先王이 승하하면 왕위를 이은 국왕은 선왕의 실록을 편찬하고 이후 보감과 『列聖御製』, 『列聖誌狀通紀』 등을 편찬하는 것이 정례화 되어갔다. 1782년 정조의 『국조보감』 간행과 종묘 봉안은 이후 1848년과 1909년의 『국조보감』에 전례로서 영향을 끼쳤다. 『국조보감』의 편찬과 간인, 진상과 봉안 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록한 『國朝寶鑑監印廳儀軌』는 다양한 시각의 연구가 가능한 중요 자료이다.
    본 논문은 1782년의 『국조보감감인청의궤』를 대상으로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와 찬집청 운영을 고찰하였다. 실록을 주요 자료로 활용한 보감의 편찬은, 石室秘藏이라는 실록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장소를 달리하였다.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는 궐내에 위치하여 실록을 관리했던 예문관에 설치한 內纂輯廳과 궐외의 관상감에 설치한 外纂輯廳의 이원체계로 운영되었다. 해당 장소에는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찬집당상과 등록낭청, 교정당상과 교정낭청 등의 인력이 동원되었다. 이들은 抄出과 割付․謄出 그리고 찬집과 교정 작업을 담당하여 9개월에 걸쳐 13朝의 『국조보감』을 편찬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became customary for the succeeding king to publish annals of the former king as well as the bogam(寶鑑), Yeolseongeoje (列聖御製) and Yeolseongjijangtonggi (列聖誌狀通紀), once the former king passed away. King Jeongjo’s editing of the Gukjobogam and its enshrinement at Jongmyo in 1782 became a precedent which influenced the other editions of the Gukjobogam published in 1848 and 1909. The Gukjobogamgamincheonguigwe (國朝寶鑑監印廳儀軌), which contains information on the editing, publication, presentation, and enshrinement of the Gukjobogam, is a rich and important research data.
    Thisb study examined the editing process of the Gukjobogam and the management of the Chanjipcheong with focus on the Gukjobogamincheonguigwe of 1782. The bogam, which was mainly based on the annals, was edited in several sites since it was illegal for the annals to be accessed by the general public and even the king. The editing of the Gukjobogam was led by two government offices, the Naechanjipcheong (內纂輯廳), an agency affiliated with Yemungwan(藝文館), which managed the annals, and the Oechanjipcheong (外纂輯廳), the agency affiliated with Gwansanggam(觀象監), which was located outside the palace. Personnel, including the chanjipdangsang (纂輯堂上), deungroknangcheong (謄錄郎廳), who were in charge of compiling the material, and the gyojeongdangsang (校正堂上) and gyojeongnangcheong (校正郎廳), who edited the books, were placed in both offices. These officials were in charge of collecting (抄出) and cutting and pasting (割付) the material for the bogam and of copying (謄出) and compiling (纂輯) it, thus succeeding in editing the Gukjobogam of 13 former kings in 9 mont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