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기독교 철학의 첫 출발 – 선교사의 철학교육 (The First Beginning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y – Missionary Philosophy Educ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12
21P 미리보기
한국 기독교 철학의 첫 출발 – 선교사의 철학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철학 / 38호 / 289 ~ 309페이지
    · 저자명 : 오지석

    초록

    이 논문은 한국 기독교 철학사의 전사(前史)이자 첫 출발은 언제, 누가, 어디서 어떻게 시작하였는가라는 물음을 답하려는 시도이다. 이것은 누가 한국의 기독교철학자인가?라는 물음에 선행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한국의 근대 전환기에 수용된 서양철학과 그 교육의 특징을 1900년 내한한 미장로회 선교사이자 교육자이었던 편하설(片夏薛, C.F. Bernheisel 1874 ~ 1958)의 생애와 평양숭실대학에서의 철학교육, 철학교재에 있다고 보았다. 비록 전문철학자는 아니었지만, 그의 철학교육이 다른 전문학교의 철학교육보다 앞섰고, 한글 교재 『논리략해』는 근대한국의 서양철학의 첫 한글교재로서 그 의미가 크다. 이 논문은 번안과 번역의 시대에 한국에서 선교활동과 교육을 병행하던 선교사의 철학교육이 한국기독교철학자를 낳은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 그의 철학교육은 자신에 그치지 않았고 일제 강점기 기독교철학자였던 채필근이 강단에 서기 전까지 진행되었고 구미나 일본으로 떠나는 유학생들과 신학자나 목회자가 되는 학생들에게 기독교적 사유의 첫 출발을 가르쳤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것은 근대전환기의 서양사상의 이식과 수용의 모습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re-history of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y and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en, who, where, and how it began. This precedes the question: Who are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philosophy and its education accepted during Korea's transition to modern times through the life of Pyeon Ha-seol (C.F. Bernheisel, 1874 ~ 1958), a Presbyterian missionary and educator who visited Korea in 1900, and philosophical education at Pyongyang Soongsil College. I thought it was in a philosophy textbook. Although he was not a professional philosopher, his philosophy education was ahead of that of other professional schools, and the Korean textbook The Element of Logic(Lon-ree-yak-hae) is significant as the first Korean textbook of Western philosophy in moder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philosophical education of missionaries who carried out missionary activities and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era of adaptation and translation played a certain role in producing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His philosophical education did not stop with himself, but continued until Chae Pil-geun, a Christian philosoph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me to the pulpit. It is significant in that he taught the beginnings of Christian thinking to students leaving for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o students who became theologians or pastors. This shows the transplanta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idea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