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부일처제의 법제화와 ‘첩’의 문제 - 1920-1930년대 『동아일보』 사건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The Modern Legalization of Monogamy and the Problem of “Concubine” - An Analysis of the Articles in Donga Ilbo, 1920-1939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08.12
41P 미리보기
근대 일부일처제의 법제화와 ‘첩’의 문제 - 1920-1930년대 『동아일보』 사건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9호 / 79 ~ 119페이지
    · 저자명 : 정지영

    초록

    이 글은 1920년대-1930년대 『동아일보』에 실린 ‘첩’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첩이 문제가 된 시대’의 흐름과 그 속에 살았던 남편, 처, 첩들의 긴장과 갈등, ‘첩’들이 처한 상황과 입장을 읽어보고자 했다. 1920년대, 1930년대는 근대적 부부관계와 법적인 일부일처제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른바 ‘가정개량’의 시대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첩’을 둘러싼 사건이 ‘기사화’된 것은 첩을 둘러싼 혼란을 가시화시키고 문제화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축첩제는 사회혁신을 위해 폐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논의되었고, 첩은 범죄를 일으키는 근본 원인으로 논의되었다. 첩을 두는 것이 이혼사유로 인정되면서 남편과 처, 첩은 각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소송을 걸었고, 법정 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본처’의 자리를 법적으로 확인하는 문제, 그리고 재산과 친권에 대한 다툼이 이어졌다. 이러한 각축 속에서 첩을 둘러싼 살인사건 및 자살사건이 기사화되었는데 남편, 처, 첩 가운데 가장 많이 죽은 것은 ‘첩’이었다. 새로운 근대적 결혼제도와 이른바 ‘봉건적’ 혼인관행이 충돌하는 시기에 여성들은 ‘첩’이 되었고, 본처와 첩은 ‘사랑으로 결합한 일부일부’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 각축을 벌였다. 근대적 일부일처제는 ‘첩’의 죽음, ‘사라짐’을 통해 새롭게 구축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articles in Donga Ilbo during 1920s and 1930s about “concubines.”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on “concubine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time when “concubines became the social problem,”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husbands, wives, and concubines during that period, and what circumstances the concubines were placed in and their standpoints. 1920s and 1930s were so called the period of “family reform” during which a modern married relationship and legal monogamy were in the making. Newspaper reports of the incidents related to “concubines” were intended to re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concubinage by visibilizing and problematizing them. It was discussed that concubinage was the cause of many crimes and should be stopped in order for social reform. As keeping a concubine was recognized as legitimate ground for divorce, various legal disputes were rendered by many husbands, wives, and concubines. There were continuous disputes over the matters of confirming the position of “legal wife,” property rights, and parental authorities. Many incidents of homicides and suicides were reported during this time of which victims were mostly the concubine. Many women became “concubines” during the period when the new modern marriage system collided with “old-fashioned” marriage practices. A legal wife and a concubine competed with each other to become the heroine of the “monogamous relationship based on love.” The modern monogamy was newly constructed through the concubines’ expulsion, runaway, or death – in other words, their disappear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