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대북한 철도지원 ― 전쟁지원에서 건설지원까지 (Chinese Assistance to North Korea's Railway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 From Combat to Construc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06
24P 미리보기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대북한 철도지원 ― 전쟁지원에서 건설지원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98호 / 39 ~ 62페이지
    · 저자명 : 謝定元

    초록

    한국전쟁 발발 이후, 중국은 자발적으로 북한에 원조를 제공하였는데, 중소 양국의 지원물자는 주로 중국 동북을 통해 북한으로 운송되었다. 중국지원군이 전쟁에 투입되자, 북한의 철도운송노선을 복구하여 군수물자 조달을 보장하는 것이 시급해졌다. 1950년 11월, 중국은 철도인원을 북한에 투입하기 시작했고 중국 철도부대의 대량 유입은 북한 철도운수를 둘러 싼 북중 간 갈등을 빚어내기도 하였다. 이후 소련이 개입하여 북중 양측이 中朝聯合鐵道司令部를 설립하고 북한 철도의 군사관리화를 협의함으로써 철도운수갈등도 점차 해소되었다. 전쟁이 대치단계로 진입하자 중국은 북한 경내에 철도를 건설하여 북한의 철도운수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는데 이 노력은 정전 이후까지 지속되었다.
    1950년 10월 19일, 중국 지원군이 압록강을 건너 한국전쟁에 참여하면서 ‘유엔군’과의 전쟁의 서막을 열었다. 중국 철도부대도 군대를 따라 입북하여 북한철도의 복구를 도왔다. 중국은 전쟁 발발 즉시 북중 간 철도, 도로를 통해 군수물자를 운송하여 북한을 도왔으며 중국 철도사병들은 전후에도 북한에 남아 철도 복구와 건설을 도왔다.
    중국의 대북지원에 대한 학술 연구는 문헌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소련의 해체와 더불어 러시아 문건들이 해제되면서 중국의 대북원조연구도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대부분은 전후 대북경제지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면 沈志華 교수의 「尊重與援助:新中國對朝鮮外交方針的形成」이라는 논문에서 한국전쟁 발발 이후 중국의 대북지원방침의 형성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본문 중에는, 마오쩌둥이 중북우의를 강화하고 전쟁 시기 중북 고위급간부 간의 긴장관계를 완화하기 위해 중국정부와 군대에 북한을 존중하고 평등하게 대할 것을 거듭 강조하고 경제, 군사방면에서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해 북한을 돕고자 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션즈화 교수는 이런 과정을 통해 새 중국의 대북한 외교방침이 확립되었다고 보고 있다. 션즈화・董潔의 「朝鮮戰後重建與中國的經濟援助, 1954~ 1960」라는 논문은 당시 중국이 국내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첩첩산중이었음에도 힘을 다해 북한을 도왔으며, 초기 지원 자금이 소련과 동구 국가의 총합보다 많았다는 내용을 다루었다. 션즈화 교수는 러시아의 해제된 문건을 기반으로 전쟁으로 인한 철도시설 등 피해에 대해 설명하면서, 전후 중국의 대북 철도원조에 대한 내용도 다루고 있다. 션즈화 교수는 「試論朝鮮戰爭期間的中朝同盟關系」라는 논문에서, 중국 철도부대가 북한에 투입된 후 북한의 철도관리권을 둘러싸고 북중 양측 간 갈등이 있었으며 소련이 개입하여 갈등을 해소하였다고 설명하면서 북중 철도관리권 갈등의 심층적 원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대북지원에 관한 중국의 공식사료도 일부 해제가 되었는데,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등 인물들의 연보, 원고, 문집, 중국해방군 병참부 자료 및 민간 사료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劉居英의 개인소장 자료와 일부 공개된 사료를 기반으로, 한국전쟁시기 중국의 철도를 통한 전쟁지원에서 철도건설 지원까지의 역사과정을 살펴보고, 중국의 대북 철도지원의 배경, 전시 중국지원군의 철도지원 및 전후의 철도건설지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fter the outbreak of Korean War, China offered to assist North Korean. The material assistances of China and the Soviet Union were delivered to North Korea by way of northeast China. After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had took part in the war, in order to repair the railway transportation and improve the supply conditions of Chinese and North Korean armies, in November 1950, China began to send railway personnel to Korea to support the war. After that, Chinese railway troops continuously entered North Korea, thus provoking the contradictions between China and NK on the issue of Korean railway transportation.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oviet Union, the two sides agreed upon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China-NK Command of Railway and exercised military control on the Korean railways. The conditions of Korean railway transportation were gradually improved. When the war came into the stage of stalemate, China began to build the railways inside NK and continued to do it in the postwar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