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달장애인을 고려한 지하철 안내사인의 그래픽 적용 방안 고찰 (A Study on the Graphic Application of Subway Guide Signs Consider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3
16P 미리보기
발달장애인을 고려한 지하철 안내사인의 그래픽 적용 방안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22권 / 1호 / 9 ~ 24페이지
    · 저자명 : 박수진, 김민지, 권희순, 황보람

    초록

    연구배경 : 대중교통의 정보 및 서비스디자인 연구는 다양한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로서의 발달장애인을 이해하고, 지하철에서 동선 이동 방향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인들을 위해 지하철 안내사인에 적용 가능한 종점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인 그래픽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디자인학과 사회복지학의 학제간 공동연구로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및 디자인 개발이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준하여 진행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비롯하여 발달장애인과 조력자를 대상으로 한 맥락적 인터뷰와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일련의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니즈와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디자인 개발에 반영하였다. 현장 적용 이미지 시뮬레이션과, 이를 이용한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전문가 집단 내에서 검토 과정을 이어갔다.
    연구결과 : 조사 분석을 통해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는 발달장애인들이 지하철 이용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길을 잃었을 때 자신의 동선 방향을 인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었으며, 조력자들 또한 이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효율적인 지원이 어렵다고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달장애인이 인지 가능한 기본 도형과 화살표를 이용하여 기존의 지하철 안내사인에 적용 가능한 사인 그래픽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제안은 발달장애인 뿐 아니라 언어정보 기반 지하철 사인 이용에 제약이 있는 교통약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정착에 있어 해결해야 할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디자인과 타학문의 공동연구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Studies on information and service design of public transportation are targeting various transportation vulnerabilitie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cases targeting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is study seeks to apply sign graphics that can provide end-point direc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subway guide sig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subway.
    Methods : As an interdisciplinary joint study of design and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design development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Design process. Contextual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ssistant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and needs and insights were derived based on a series of survey analysis results and reflected in design development. The review process was continued within the expert group through on-site image simulation and virtual scenarios using it.
    Results : According to the survey and analysis, the most difficult part of using the subway was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not recognize their direction of movement when they got lost, and assistants also said that efficient support was difficult when this situation occurred.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 sign graphic applicable to the existing subway guide sign using basic graphic figures and arrows that can be recognized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 This proposal is expected to help not only the developmental disabled but als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o are limited in using language information-based subway sign, and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joint research in design and other studies on various social problems to solve in establishing Community Care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