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시대 철탁의 성격과 의미 (Nature and Meanings of Iron Bell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9.12
40P 미리보기
삼국시대 철탁의 성격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13호 / 190 ~ 229페이지
    · 저자명 : 김도영

    초록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되는 철탁을 분석하여 그 성격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철탁은 현재까지 297개 유구에서 총 788점이 출토되었다. 공반된 신라토기의 연대관을 참고로 하면 철탁의 전개 과정은 총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I단계(5세기 후반)에는 신라의 한 지방인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이동지방에 철탁이 한정적으로분포한다. 철탁은 ‘신라 내 지방세력의 문화요소’로 등장하였으며 공반된 겸형철기와 유자이기로 보아당시 이미 신라의 지방에서 자체적인 철기의 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II단계(6세기 전반)에는 철탁의 분포 범위가 낙동강 이동지역을 넘어 김천, 칠곡, 구미, 군위, 의성, 안동 등 낙동강 중·상류지역까지 확대된다. 특히 경주지역에도 많은 수의 철탁이 부장되는데 이는 신라의 지방문화가 중심까지 파급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III단계(6세기 후반)에는 철탁의 전체적인 수량이 감소하나 분포 범위는 오히려 한층 확대된다. 화성과여주 등 중부지방과 김해와 고령지역에 다수의 철탁이 확인되는 현상은 이 시기 이루어진 신라의 세력확장과 관련 있다.
    IV단계(7세기 전반)에는 대구와 파주에서 철탁이 소수 확인되며 이후 철탁은 그다지 성행하지 않았을가능성이 크다.
    이외에 매장시설, 부장 위치, 유기질 흔적, 어망추 등 부장 양상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 막연히 단야장인, 제사장 또는 여성으로 추정된 피장자의 성격 및 성별을 판단하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공반 유물로 보아 삼국시대 철탁 중 그 일부는 儀器, 또는 워낭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한반도의 영향을 받아 일본열도에서도 철탁이 출현한다. 일본열도 내에서 철탁을 비롯한 도래계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지역은 九州였으며 그 성행 시기를 보아 백제, 대가야와 함께 신라도왜와 지속적인 교섭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and meanings of iron bells that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o far, a total of 788 iron bell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excavated from 297 tombs.
    Referring to the production period of Silla pottery excavated in association with them, the iron bell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from Stage I (the late 5th century) to Stage IV (the early 7th century).
    In Stage I (the late 5th century), the distribution of iron bells was limited to the eastern area of Nakdong River, focusing on the Daegu region as a province of Silla. The iron bells appeared as a ‘cultural element of regional power within Silla’. Considering the sickle-shaped ironware excavated together, it appears that the production of ironwares was already undertaken in the regions of Silla at the time.
    In Stage II (the early 6th century), the distribution range of iron bells spread to the middle and upper regions of the Nakdong River, to areas such as Gimcheon, Chilgok, Gumi, Gunwi, Uiseong, and Andong, after expanding from the area east of the Nakdong River. In particular, numerous iron bells were buried in the Gyeongju reg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spread of the local culture of Silla to the center.
    In Stage III (the late 6th century), the quantity of iron bells decreased while the distribution range further expanded. The phenomenon of finding many iron bells in Gimhae, Goryeong, and the central region of Korea (such as Hwaseong and Yeoju) is related to the power expansion of Silla at this time.
    In Stage IV (the early 7th century), a few iron bells are seen from Daegu and Paju, and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iron bells were not very popular from this time.
    Meanwhile, as a result of reviewing burial aspects, such as burial facilities, buried position, traces of organic matter, and fishing net weight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terpretations of the deceased’s nature and gender (vaguely estimated as chief priest or woma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addition, a examination of artifacts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bells indicates that some of the iron bells may have functioned as ritual tools or cowbells.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Peninsula, iron bells also appear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in the Japanese Archipelago, Kyushu appears to have aimed to actively accept the culture from the peninsula, including the iron bells, which demonstrates that Silla also attempted to continuously negotiate with Japan, just like Baekje and Daega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