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비파형동검문화로 동물장식의 유입과정 (The Inflow of the Ordos-style Bronzes into the Lute-shaped-dagger Culture Zon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0.10
30P 미리보기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비파형동검문화로 동물장식의 유입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6권 / 97 ~ 126페이지
    · 저자명 : 강인욱

    초록

    본고에서는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지역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오르도스 청동기(북방계 청동기)로 꼽히는 동물장식을 중심으로 비파형동검문화권으로의 초원지역 청동기의 그 유입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그 유입과정은 3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I기는 비파형동검문화 전기에는 夏家店上層文化의 南山根과 小黑石溝와 같은 유적의 영향으로 청동기와 동물장식을 받아들였다. II기는 비파형동검문화 중기에는 夏家店上層文化가 붕괴되고 燕山山脈 일대의 玉皇廟文化와 교류하면서 玉皇廟文化 특유의 동물장식이 中原禮器와 함께 遼西지방의 비파형동검문화로 유입되는 시기이다. 또한 遼東지역에서도 일부 동물장식이 산견된다. III기는 비파형동검 후기~초기세형동검 단계에는 遼西지역은 燕의 팽창으로 비파형동검문화가 소멸되며 북방계 유물도 사라진다. 대신에 遼東의 本溪 지역을 중심으로 동물장식과 鳥形劍把頭 등이 발견되기 시작하며, 한반도에도 동물장식과 조형검파두가 발견된다. 특히 조형검파두의 경우 遼西지역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西豊 西岔溝에서 보듯이 匈奴系의 문화가 초원지역에 확산되면서 그 여파로 유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요령~한반도 지역으로 유입되는 북방의 동물장식은 遼西지역으로 통한 장신구와 요령서부~길림성 중부에서 유입된 조형검파두로 나뉜다. 전체 유물 상에서 본다면 기본적인 무기나 묘제에서 초원지역의 영향은 거의 없이 동물장식에만 주로 한정되었다. 따라서 북방계 청동기의 유입은 단순한 주민의 이동이나 문화의 전파론적인 시각보다는 비파형동검문화의 사회발전과정에 따른 능동적인 문화요소의 흡수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So far, the northern style bronze(or northern style bronze) is one of the debate problems in the Korean archaeology. Because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 'northern origin of Korean ancient culture' dominated in the sphere of korean history without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this theory with newly found materials from Manchuria. In this study, author tries to figure out meaning of the elements of so called ordos bronzes, and suggests that the ordos style bronze were introduced into the Lute-shaped dagger cultural zone differently in time and space.
    Author analyse mainly the animal style ornament, horse bits and griffin shaped pommels of dagger, and divides three period of intrusion of Ordos bronzes.
    In the first period(9~7th cen. B.C.), the animal style ornaments and horse bits were found in Shiertayingzi sites, located in the Liaoxi region. These artifacts were remained with interaction with Upper Xiajiadian culture.
    In the Second period(6~5th cen. B.C.) with the collapse of Upper Xiajiadian culture, Yuhuanmu culture on the Yanshan mountainous region interacted with Lute-shaped dagger culture in the Liaoxi, and subsequently animal style ornaments and horse bits with Yuhuanmu cultural attributes were found in Nandonggou, Qianjiugouzi and Shanguandianzi. Furthermore, Loushang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Zhenjiawozi in Shenyang area.
    In the Three period(4~2the cen. B.C.) with the expansion of Yan state to Liaoning area, lute-shaped dagger culture disappeared in Liaoxi and central part of Liaodong, but in the east part of Liaodong, slender dagger with the griffin shaped pommels were found. The griffin shaped ornaments and Xiongnu style buckles from Xichagou shows that from this period, another type of northern style bronze, t.c. Xiongnu bronzes intruded onto the easter area of Liaoning and Jilin, where the chinese influece was not so strong.
    Finally, from the 1st cen. B.C. with the foundation of Lelang prefecture in the Pyongyang, another type of northern style bronze were found. These are animal standing ornaments and gold gilt buckle hooks. Although, these are apparently belong to the northern style bronze, but were made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rafts. From this period, with the influence of Lelang culture on the South Korea, the northern style bronze(animal belt hooks. animal style ornaments, and griffin shpaed pommels) were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