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악후보』정읍과 수제천의 관련성 고찰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Jeongeup in Daeakhubo and Sujeche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대악후보』정읍과 수제천의 관련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40권 / 161 ~ 186페이지
    · 저자명 : 윤병천

    초록

    본 논문은 ‘수제천(빗가락 정읍)’과 『대악후보』 ‘정읍’의 관계를 구명 하였다. 아악의 백미로 알려진 수제천의 원명은 ‘정읍(井邑)’이다. 이 ‘빗가락 정읍’과 『대악후보』‘정읍’ 의 관계에 대해서는 일찍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지만 미해(未解)의 입장을 비롯해 별도의 곡의 구전(口傳), 혹은 악구의 재구성 등으로 결론은 한결 같지 않았다. 본고는 선행 연구의 결과 를 존중하면서 미진한 부분에 대해 보완하고자 방법을 달리 하여 두 곡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으로 피리보를 사용한 반면 본 논문은 아악부 대금보를 채택하였으며, 악구(樂句) 대신에 구조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음악 구성의 가장 작은 단위 인 동기(모티브)로 현행 수제천을 악곡에 출현하는 순서대로 분석한 결과 수제천은 1~4장을 이루 고 있는 동기는 25종이며, 구조선율을 연결해 주는 음간 연결음 5종은 『대악후보』에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구조선율을 기준으로 보면 두 곡이 상당 부분 일치하므로 음 진행의 유사성이 많은 관계로 동일 계통의 음악으로 보는 데는 무리가 없다. 두 곡의 유사성 내지 동일한 점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수제천의 한 각 장단이 반각 장단으로 축소되는 것은 정읍의 8행 장단(또는 고형)이 4행 장단(고형)으로 축소되는 것과 관계있다. 둘째, 『대악후보』정읍은 큰 틀에서 보면 1장의 선율이 2장에서 반복되는 형태로 2장으로 구성된 악곡이다. 이는 수제천에서 1장이 반복되어 2장이 되는 것과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대악후보』 정읍의 1소행은 현악, 2소행은 관악으로 해석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현재의 수제천과 비교해본 결과 제1소행인 현악 선율이 수제천의 관악 선율로 재창조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수제천 제1․2장의 주선율을 구성하고 있는 모티브는 정읍의 출현 순으로 보면, 제1, 35, 36, 22, 5, 6, 28, 30, 28, 10, 7행 순서와 비교되고, 3․4장의 주선율 요소들은 제53, 54, 35, 36, 45, 40, 37, 39, 46, 42, 30, 44행순으로 구성음이 일치하고 있다. 이상의 공통점을 종합해 보건대, 두 곡은 구조선율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이 발견되나 선율 진행 면에서는 상이하여 동일곡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동일계 음악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까닭에 『대악후보』정읍을 1세대의 곡, 현행 수제천(빗가락 정읍)을 2세대의 곡으로 결론지 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plore 'Bitgarak Jeongeup' and 'Jeongeup' from Daeakhubo (Scores of Great Music) to investigate their corelation including an association of their lyrics Jeongeupsa (a song from the Baekjje era) with a place name, 'Jeongeup' located in Jeollabuk-do. The original title for Sujecheon (Long Life as Eternal as in Heaven) which is known as the gem of Aak (court ceremonial music) is 'Bitgarak Jeongeup'. Although there are many precedent studies on the corelation between 'Bitgark Jeongeup' and 'Jeongeup' from Daeakhubo, they have never been led up to the same conclusions: some suggest that one of them is a independent version of the other, others suggest that one of them is the one orally transmitted or reconstituted of the existing phrases, while some were inconclusive.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into the corelation between the two musical pieces by different method to complement the precedent study results with respect. Instead of the piri (cylindrical double-reed bamboo oboe) score analyzed in the precedent studies, I chose to analyze the daegeum (large transverse flute) score focusing on motives instead of phrases. Analyzing the existing Sujechen by its motive which is the smallest constituent of music in the order of appearance,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25 types of motives constituting the first through fourth movement, and the five types of tones connecting the motives do not appear in Daeakhubo. Although much of the motives were consistent in both pieces, it is difficult to predicate that they are identical since they have different time value. However, it is not unreasonable to consider them cognate as they have a lot in common in progress. The similarity or identical poin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origin of its rhythmic units, gak (6-beat, a quarter rhythmic cycle) and half-gak (3-beat) of Sujecheon can be found in the hour-glass drum rhythm of Jeongeup, which was 8 lines being reduced to 4 lines. Second, Jeongeup, in larger scheme, is comprised of two movements in which the melody of the first movement repeats in the second movement. This form is similar to Sujecheon. Third, the first vertical line of Jeongeup is typically considered as for string instruments, while the second one as for wind instruments. The string melody of Jeongeup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wind melody of today's Sujecheon. The difference is that Jeongeup has the nam key (C) for the keynote and cadence while Sujecheon begins with the nam key but has the lim key (B♭) for cadence. Fourth, the motives of the main melody in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 of Sujecheon correspond to line 1, 35, 36, 22, 5, 6, 28, 30, 28, 10, 7 of Jeongeup in the order of appearance, while those in the third and fourth movement correspond to line 53, 54, 35, 36, 45, 40, 45, 37, 46, 42, 30, 44. Collectively,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erms of their motives but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m the same musical piece in terms of their melodies. Nevertheless, they are still concluded as cognate music that Jeongeup from Daeakhubo can be determined as the piece of first generation while Bitgarak Jeongeup as of the second generation. There was a view on Sujecheon being the production of the Silla Dynasty due to an issue raised from a comparative study on Jeongeup and Sujecheon. Considering the relation to a place name 'Jeongeup', however, such claim admits of a discussion. Particularly, among divergent opinions in interpretation of their lyrics: some regard it as a complete hugang, a musical tone, while the others regard it as hugang-Jeongju market, I consider it resonable to follow the l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