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시대 전탑 천불상 연구 (A Study on Cheonbulsang(One Thousand Buddha Imag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5.06
34P 미리보기
통일신라시대 전탑 천불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4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호

    초록

    천불은 불교가 시작된 초기부터 인도와 서역 그리고 중국에서 회화 또는 조각으로 조성되어 많은 예가 남아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조성되었다. 이 논문에서 통일신라시대를 다루는 것은 이 시기 천불상이 그 시대만의 특수성이 잘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문헌자료 및 작품이 부족한 삼국시대 불교미술을 이해하고, 나아가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불교미술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불교미술 중 천불상의 가장 이른 예로 중국 병령사 169굴 남벽에 남아있는 소조상(420년)이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1세경에 성립된 경전에서 이미 천불이 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간다라 사원의 탑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소형 사당에 불상이 반복적으로 봉안된 것을 천불상의 시원으로 추정하였다. 간다라 사원에서 조성되기 시작한 천불상은 서역 사원에서도 나타나며, 중국이나 서역 석굴사원의 천불상은 벽면을 가득 채우다가 점차적으로 천정으로 배치되어 장엄적인 기능이 강조되었다.
    천불신앙과 조상은 삼국시대 불교가 전래된 시기와 거의 동시에 함께 전달되어 우리나라 초기 불교미술에서부터 영향을 끼쳤는데, 이는 불교미술에서 최고(最古)의 기년명을 가진 연가7년명(539) 금동불입상이 천불신앙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삼국시대 천불의 수용과 신앙은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이 활발하게 조성될 수 있었던 기반을 제공하게 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구성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특징을 살펴보면, 불상(佛像)과 문양(文樣) 형식은 불상이 나열된 사이사이에 문양이 배치된 형식이고, 불상과 탑(塔) 형식은 불상과 탑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식으로 모두 탑 부재용이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대부분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중반에 집중적으로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경주를 중심으로 조성된 이유로는 경제적 능력을 지닌 지배층 세력의 뒷받침이 필요했기 때문이며, 이는 천불상과 관련된 사찰에서 모두 고신라의 기와가 출토된 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주지역을 비롯하여 울산과 청도지역에서 조성된 것은 울산이 당시 중요 항구로서 경주와 밀접하게 교류했으며, 청도는 주요 교통로로서 주민들이 왕경 내의 공사에 동원되기도 했던 점이 천불탑이 건립될 수 있었던 근거이다.
    또한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과 비교하여 초기 밀교 경전인 『관불삼매해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초기 밀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천불상은 불교미술사에서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다루어진 주제로, 중국이나 서역의 석굴사원에서도 보기 드문 예로 통일신라미술의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Cheonbul images were produced in large numbers both in paintings and sculptures in India, Xiyu(the Western Regions), and China from the advent of Buddhism. Even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made continuously throughout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oseon Period.
    Cheonbul images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display a form hardly found among those made during either the Three Kingdoms Period or the Goryeo or Joseon Dynasties, or in other Buddhist countries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us, Cheonbulimages are important for scholars of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in both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cerning which only a small number of literary materials or artworks remain, and i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clay Buddha(420 AD) carvedon the southern wall of CaveNo. 169 of Bingling Temple, Gansu Province, China has been referred to as the earliest of the extant Cheonbul images. However, this study notes that Cheonbul had already appeared in Buddhist scriptures written around the 1st century and assumes that Buddha images, which were repeatedly kept in a small shrine next to a tower in Gandhara, were the origin of Cheonbul images. Cheonbul images, which were first produced in Gandhara, spread to Xiyu. Cheonbul images in cave temples in Xiyu and China were first made on the walls and were gradually made even on the ceilings, inspiring solemnity among onlookers.
    Sculptured Buddha images, including Cheonbul image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lmost simultaneously with Buddhism. They influenced local Buddhist art from the beginning, as can be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the Standing Gilt-bronze Buddha Image inscribed with the year of Yeonga(an era name used by Goguryeo 7th year=539 AD), which is the oldest Buddhist artwork to have been discovered in Korea, is associated with a Cheonbul-based religion. The introduction of Cheonbul images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provided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many such imag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Cheonbul imag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ir composition: (A) Buddha images plus pattern(with patterns laid between the Buddha images) (B) Buddha images plus pagoda(Buddha images and pagodas being placed alternately), all of which were designed to be mounted on pagodas.
    Most of them were made in Gyeongju between the late-7th century and mid-8th century. The location of Gyeongju was associated with the need for financial political support, as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roof tiles dating back to pre-Unified Silla have been unearthed from all the temples associated with Cheonbul images. It is assumed that stones used to make Cheonbul pagodas were supplied from tile kiln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The existence of Cheonbul pagodas in Ulsan and Cheongdo, but not in Gyeongju,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Ulsan was an important port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Gyeongju, that Cheongdo was on a major path leading to Gyeongju, and that the local residents there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 work carried out in the capital.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Cheonbul images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associated with tantric Buddhism in the early perio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made with a group of rock-carved Buddha images in Namsan, Gyeongju, with the focus on Gwanbul sammae haegyeong, a relevant scripture.
    Although the Cheonbulsang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been neglected, they are nonetheless important materials for those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arts, as they display the originality of the country in which they were made, since nothing similar has been found elsew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