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연구 (A Study on the Triad of Wooden Amitabha Buddha at Cheoneunsa Temple in Samcheok)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3.06
37P 미리보기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9호 / 145 ~ 181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강원도 천은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삼존상은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조성발원문이 남아있지 않고, 1596년에 중수한 기록만 남아있어 양식적인 특징과 사찰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제작 시기에 접근하였다.
    천은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 신체비례, 왼쪽 가슴에 흘러내린 비파 같은 옷주름 등이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1458년), 강진 무위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1476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아미타여래좌상(1482년), 고양 상운사 석조여래좌상(1497년) 등과 유사하다.
    한편 1910년대 작성된 953건의 사찰 재산대장(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에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과 지장보살이 협시로 봉안된 사찰은 17곳 밖에 없어 임진왜란 이후에 대웅전이나 극락전에 봉안된 삼존상 구성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현재 강진 무위사. 서산 개심사, 삼척 천은사, 강화 정수사, 달성 파계사, 합천 해인사 원당암, 홍성 정암사에 봉안되어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촬영된 유리건판(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에 개성 관음사와 정읍 벽련암에 봉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조성발원문이 남아있지 않지만, 양식적으로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목조불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하다. 그리고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과 지장보살이 봉안된 삼존상이 15세기 중ㆍ후반 수륙재 유행과 더불어 왕실 관련 사찰에 봉안된 것으로 밝혀져 조선전기 불교미술사 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ooden Amitabha Buddha Triad enshrined in Geungnakbojeon Hall of Cheoneunsa Temple in Gangwon-do. There is no record of the production period of this statue, and only the record of reconstruction in 1596 remains, so the production period was approached based o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emple-related literature.
    The Seated Wooden Amitabha Buddha Triad at Cheoneunsa Temple has a similar an impression of features, physical proportion, and folds of clothes on left chest that look like a Korean mandolin to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at Heukseoksa Temple in Yeongju (1458), the Wooden Amitabha Triad of Muwisa Temple in Gangjin (1476), the Wooden Amitabha Triad of the National Museum (1482), and the Stone Seated Stone of Goyang Sangunsa Temple (1497).
    Meanwhile, among the 953 temple property registers (posses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ritten in the 1910s, only 17 temples were enshrined with Avalokites and Ksitigarbha Bodhisattva around Amitabha Buddha, indicating that the composition of the triad statues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r Geungnakjeon Hall chang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uch a composition can be found in Muwisa Temple in Gangjin, Gaesimsa Temple in Seosan, Cheoneunsa Temple in Samcheok, Jeongsu Temple in Ganghwa, Pagyesa Temple in Dalseong, Wondangamam Hermitage in Haeinsa Temple in Hapcheon, and Jeongamsa Temple in Hongseon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was enshrined in Gwaneumsa Temple in Kaesong and Byeoknyeonam in Jeongeup among the glass dry plates (col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hotographed Japanese colonial era.
    herefore, the wooden Amitabha Buddha Triad in Samcheoncheon Stream does not have a production record, but it is stylistically similar to a wooden Buddha statue made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a Western stone. And it was discovered that Amitabha Buddha was enshrined in a royal temple in the mid and late 15th century, along with the trend of Suruijae(water and land ceremony), which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work for the study of Buddhist art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