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王朝實錄』의 ‘百尺竿頭’ 의미 고찰 (A Study on meanings of ‘Baekcheokgandu (百尺竿頭)’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1.09
30P 미리보기
『朝鮮王朝實錄』의 ‘百尺竿頭’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72호 / 187 ~ 216페이지
    · 저자명 : 엄미경

    초록

    중국 당대(唐代)의 장사 경잠(長沙景岑) 선사의 게송에서 비롯한 선종언어(禪宗言語)로서 중국과 한국에서 사자성어(四字成語)로 발전한 ‘백척간두(百尺竿頭)’는 세간사 다방면에서 종종 비유되어 사용되고 있고, 역사 문헌 속에서도 흔히 비유되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최고의 위치’나 ‘최상의 경지’를 뜻하는 의미로 통용되는 중국에 비해, 한국에서는 ‘위태로운 지경’, ‘절체절명의 상황’이나 ‘진퇴양난의 입장’을 떠올리게 되는 연유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조선왕조실록』에서 그 용례들의 의미를 구분 지어 고찰하고, 『승정원일기』에서도 그 의미의 분포를 간단히 나누어 보았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살펴본 용례 중에서 ‘백척간두에 이르다’라고 비유한 것은 ‘어떠한 상황이 백척간두의 높은 곳까지 치닫다’는 의미에서 ‘위태로운 상황이 그 높은 곳까지 이르다’는 의미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정조대에서는 ‘백척간두’가 ‘위태로운 형국’에 비유되기도 하였지만, ‘백척간두진일보’가 ‘학문과 덕망이 이미 높은 경지에 이르렀으나 더욱더 분발하고 향상하다’라는 의미로도 비유되었다. 외세의 침입과 안정의 시기를 거듭하며, 같은 어원을 가진 언구가 문화와 상황에 따라 그 의미가 달리 변모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동일한 사자성어가 소통의 부재로 인하여 변용되기도 하였으므로, 향후 한중 인문학의 교류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고조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百尺竿頭(Baekcheokgandu[Chinese; bǎi chǐ gān tóu]; the summit of a bamboo pole of one hundred Cheok[尺]; the best state)’ was based on a Seon language which was developed into four-character idiom in China and Korea from the Seon poetic word of Zhangshajingcen(長沙景岑; ?-868), Seon master of the Tang Dynasty. And it was founded that ‘百尺竿頭’ was often used in various aspects of the world and talked by metaphor in historical literature. Compared to China’s situation that ‘百尺竿頭’ is commonly used to mean “the best level” or “the best location”, it is used to mean “the precarious situation”, “the situation of desperation” or “the position of dilemma”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reasons, the meaning of the examples was considered into the Joseon Dynasty’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and briefly divided the distribution of the meanings in the Seungjeongwon Diary (承政院日記). When I looked at the exampl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could find that the meaning of “arrived at 百尺竿頭” is transferred to “reached a dangerous situation” in the sense of “reached at high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in Joseon Dynasty, “百尺竿頭” was talked metaphor to “the critical situa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Baekcheokgandujin-ilbo (百尺竿頭進一步; One step further from the best)” talked metaphor to “the study and virtue have already reached a high level, but it is more eager and improved.” Through the period of foreign invasion and stability, it can be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phrase with the same etymology has changed according to culture and situation. In addition, since the same four-character idiom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hanged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I think that more interest in the exchange and research of the human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further heighten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