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이너리티로의 변전과 그녀들의 한국전쟁-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일본인 처(妻)’의 재현을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Minority and the Women’s Korean War-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wives’ in Chang Hyuk-Ju’s novel-)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22.11
38P 미리보기
마이너리티로의 변전과 그녀들의 한국전쟁-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일본인 처(妻)’의 재현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식민지 시대의 숨겨진 여성 경험을 깊이 있게 탐구
    • 🌍 한일 관계의 복잡한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
    • 📚 마이너리티의 관점에서 바라본 독창적인 학술 연구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33호 / 357 ~ 394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일본인 처’는 일본 제국의 패망 이전에 조선, 만주, 타이완 등과 같이 외지(外地)라 불리던 지역 출신의 남성과 혼인한 일본인 여성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한국어 재현의 장에서 ‘일본인 처’의 존재는 식민지 시기에도 잘 드러나지 않았고, 1945년 해방 이후에도 한일관계가 요동치는 국면에서 예외적으로 잠깐 모습이 드러날 뿐이었다. 일본인 처들에 관한 이와 같은 텅 빈 재현의 계보를 생각할 때, 한국전쟁 당시 일본에 거주하던 장혁주가 종군기자로 방한, 일본인 처들을 직접 인터뷰하여 발표한 세 편의 일본어 소설(「이국의 처」, 「부산항의 파란 꽃」, 「부산의 여간첩)은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이 텍스트들의 의의와 한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이 글은 다음의 세 가지 맥락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고령이지만 현재까지도 생존해 있는 ‘재한 일본인 처’들의 실제 삶이라는 사회사적 맥락과의 대조가 필요하다. 둘째, 일본어 재현의 계보에서 장혁주의 이 텍스트들이 어떤 위치에 놓이는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인 처에 관한 장혁주의 텍스트가 한국전쟁 시기까지도 일본에서 유행하던 인양서사의 하위범주 혹은 일종의 변종이라고 보았다. 세 번째, ‘일본인 처’를 소재로 한 이 소설들이 장혁주의 한국전쟁 관련 글쓰기, 특히 『『아, 조선』』이나 『『무궁화』』와 같은 대표 서사들과 공유하는 일종의 ‘가족 유사성’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장혁주의 소설은 계급적으로는 중상층 이상의 재한 일본인 처들의 경우를 주로 다루었다는 점, 당시 일본에서 유행한 인양 서사보다는 반공의 색채가 훨씬 덜하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세 편의 서사 역시 조선을 떠나고 싶어하는 일본인 처들의 간절한 목소리를 통해, 전쟁에 연루되지 않은 채 중립을 표방하겠다는 당대 일본 사회의 전후 평화 담론을 표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이 글은 일본인 처들이 겪었던 삶을 온전히 서사화할 수 있는 프레임이란 과연 무엇일까 하는 질문에 답하려는 시도이다. 일본인 처들의 불행은 그녀들이 식민지 시기 내내 이등국민이었으며 패전 후에는 이른바 ‘삼국인’으로 전락해버린 재일조선인과 결혼한 여성이라는, 말하자면 구(舊) 제국 식민자 그룹의 ‘가장 약한 고리’ 중 하나에 속하는 데서 비롯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term “Japanese wife” refers to Japanese women who married men from areas called “outside” such as Chosun, Manchuria, and Taiwan before the defeat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field of Korean representation,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wife” was not well reveal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even after liberation in 1945, it was only briefly revealed in the face of fluctuating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Considering the empty genealogy of Japanese wives, three Japanese novels(「Foreign wife」, 「Blue flowers in Busan Port」, 「Female spy in Busan」) published by Chang Hyuk-Ju, who lived in Japan during the Korean War, visited Korea as a war reporter and interviewed Japanese wives in person are quite remarkable.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se texts, this article proposed to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contexts together.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rast with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real life of the “Japanese wives in Korea” who are very old but still alive. Second, it is indispensable to consider where Chang Hyuk-ju’s texts are placed in the genealogy of Japanese reprresentation. In this article, Chang Hyuk-ju’s text on Japanese wives was considered a kind of variation of repatriation narrative that was popular in Japan even during the Korean War. Third, I noted some “family similarity” that these “Japanese wife” novels share with Chang Hyuk-ju’s other writing on the Korean War, especially with famous narratives such as “Alas, Chosun!” and “Mugunghw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ang Hyuk-ju’s novel mainly dealt with the case of Japanese wives in Korea with middle-class or higher classes, and revealed that the anti-communist color was much less than the repatriation narratives popular in Japan at that time.
    Finally, through the desperate voices of Japanese wives who wanted to leave Chosuon, these three novels were also found to represent the postwar peace discourse of Japanese society that they would advocate neutrality without being involved in the Korean war. In the end,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frame that can fully narrative the life experienced by Japanese wives. My conclusion is that the Japanese wives’ misfortunes have stemmed from their being one of the weakest links of the former imperial colonial group, a woman married to a Korean resident in Japan who was a second-class citizen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and was fallen into a so-called “three-nation” people after th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