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처(宦妻)> 다시 읽기-여성 담론을 읽는 한 방법적 시론 (Rereading —Methodological Approach to Reading Female Discuss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0.12
31P 미리보기
&lt;환처(宦妻)&gt; 다시 읽기-여성 담론을 읽는 한 방법적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2호 / 111 ~ 141페이지
    · 저자명 : 박무영, 김성은

    초록

    <환처(宦妻)>는 여성 화자를 내세워 자기의 경험담을 진술하도록 하는 서술전략을 사용한 한문 단편이다. 그러나 ‘늑혼’의 형태로 실현되는 작품 속의 섹슈얼리티가 과연 여성주체에 의한 여성 섹슈얼리티의 실현인가에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글이 남성 작가가 남성 독자들을 위해 한문으로 번역해 놓은 것이라는 특징을 미루어, 남성 주도적 문화 내부에서 ‘여성주체’와 ‘여성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비슷한 종류의 다른 여성담론을 읽는 하나의 방법적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환처>는 겹겹의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고, 여성 화자를 통해 이야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결국 모든 것은 ‘남성들의 성적 욕망과 언어적 충족’이라는 지점에서 만난다. 비록 여성화자가 여성의 성을 다루었을지라도 이를 말하는 여성화자는 작가의 담론권력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결국 여성의 성은 남성들만의 이야기공간과 그 권력관계 안에 포섭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때 일차적으로는 남성/하층/성적 소수자의 성이 대상화되고 놀림감이 되며, 이차적으로는 여성의 성이 대상화되고 농담거리가 된다. 그 건너편 주체의 자리에는 견고하게 남성이 자리 잡고 있다.
    결국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성은 엄밀하게 말해서 ‘남성이 생각하는 여성의 성’이며, 그것을 ‘말하는 목적’은 남성 자신의 언어적 쾌락을 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환처>에 등장하는 여성의 상은 ‘새로운 여성상’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이것이 ‘남성이 상상하는 새로운 여성’상이고, 따라서 ‘남성욕망의 음화’일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Huan-chu(宦妻)> is a short story in Chinese writing which uses a female narrator describing her own experience.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nts that she married a monk by threatening him, it may be doubted whether the female sexuality in this story is truly realized by “female subject”.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look over how female sexuality and female subject appear on the story which wrote for male readers by a male writer. This attempt can be one methodological model on reading other female discussions.
    Even though this story has multi-layer structure and one female speaker, it satisfies male's sexual and linguistic desire. That is because this female narrator, who talks about female sex, is subordinated to men's conversation and power structure. In this story, sex of male/low social class/sexual minority is objectified and fooled first, and female sex is objectified and ridiculed secondly.
    Therefore, female images in this story is ‘what men think toward women’. Even though the type of woman character in this story was a new woman's type at that time, this can be ‘woman's type imagined by men’ and ‘indirect delivery of men's desire’ after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