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음챙김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과 목회상담적 제안들 (A Christian Reflection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and Sugges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7.11
40P 미리보기
마음챙김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과 목회상담적 제안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29권 / 294 ~ 333페이지
    · 저자명 : 현상규

    초록

    종교적 수행방법이었던 마음챙김 명상이 치료적 도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의료환자들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 이래, 마음챙김의 치료적 지평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어 심리치료 영역에서 견고한 위치를 잡아가고 있다. 마음챙김은 인지치료 영역에서의 변화와 맞물려 주요 치료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변증법적 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 전문가들의 마음챙김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두드러진다. 더 나아가 정신분석과 가족치료 영역에서도 마음챙김이 치료적 도구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마음챙김을 통한 내담자의 행복 증진, 불안 감소, 우울재방 방지 등과 같은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마음챙김의 치료적 유익은 더 많은 연구과 출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마음챙김 기술과 방법들이 개발되어 상담현장에 적용하는 노력을 통해 그 지평을 확장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 직면하여 목회상담자는 마음챙김이 가져온 심리치료 분야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음챙김을 목회상담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 목회상담자는 정통신학적 관점에서 마음챙김에 대한 고찰이라는 도전적 과제를 이행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마음챙김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과 함께 기독교적 마음챙김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또한 목회상담의 치료적 자원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기독교 영성으로부터 다양한 자원의 발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렉시오 디비나, 묵상기도, 침묵기도, 향심기도와 같은 기독교 영성의 자원들은 기독교적 마음챙김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이런 노력은 효과
    적인 상담기법의 개발 뿐 만아니라 목회상담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고무적인 결과를 낳을 것이다. 기독교적 마음챙김은 심리학과 기독교 영성 및 타종교와의 대화의 계기를 마련하여 심리치료 분야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first use of mindfulness as a non-medical treatment for reducing the level of stress experienced by medically diagnosed patients, the horizon of its therapeutic usage has been expanded exponentially into the various realms of the social sciences. Psychiatry and psychotherapy could not escape from the enticing attractions of mindfulness. It seems that the one time-religious practice has firmly established its place in the area of psychotherapy, camouflaging its true identity with the name ‘therapeutic mindfulness.’ Research has shown that careful and well-intended implementation of mindfulness produces psychosomatic benefits. Nonetheles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mindfulness should be done with great care because of the particular worldview that underlies it, which affects both the counselor and his/her counselee. Taking into account the worldview deeply ingrained i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the pastoral counselor should make every effort to learn its origin, therapeutic benefits and potential harms to the counselee. In this context, this paper was designed to provide a Christian critique of the Buddhism-derived mindfulness and make suggestions for Christian mindfulness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settings of pastoral counseling.
    Mindfulness meditation in the tradition of Buddhism is purported to liberate one from all sorts of worries, aiming at reaching what is called the ‘pain-free’ or worry-free stage. Its primary focus of attention is on what transpires inside one’s mind in the here-now moment, whether it be feelings, sensations, thoughts, worries or others. No transcendent beings of any kind are under the scope of one’s awareness and attention, which reflects the monistic worldview of Buddhism. This monistic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the world seems to be rooted in the so-called therapeutic mindfulness. Being aware of the worldview embedded in mindfulness, the pastoral counselor should be careful when using it for a therapeutic purpose. He ought to give his attention to the various resources within Christian spirituality which can serve to establish an identity of Christian mindfulness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Recently, some Christian practices such as contemplative prayer, Lectio Divina and centering prayer has drawn the attention of spiritual directors and pastoral counselors. These resources could be integrated into a formative process of Christian mindfulness. This endeavor will serve to promote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he midst of the deluge of numerous counseling approaches and, further, to make a resourceful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