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지도 연구 (Concerning the Elementary Arts Curriculum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utilizing pictures book)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08.04
26P 미리보기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 지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논총 / 22권 / 1호 / 313 ~ 338페이지
    · 저자명 : 신백경

    초록

    초등 미술교과에서 해석학적 접근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상지도 연구로써, 초등 미술과 감상의 이해를 위해 2007년 새로 개편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해석학적 접근의 이해를 위해 해석학의 개념과 해석학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대화를 통한 미술 감상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의 감상요소의 특성으로 의미해석자로서의 어린이특성과 예술경험으로써의 그림책 특성, 교수⋅학습 매개자로서의 교사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림책 감상은 질문과 답변으로부터 감상이 시작될 수 있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한 감상은 단계적인 읽기를 통해 그 깊이를 더하였다. 처음에는 단지 텍스트를 직관적으로 읽기에서 출발하여, 텍스트의 내용과 경험이 융합하고 마침내는 내면화의 과정에 이르게 되는 단계적 감상모형을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을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실제의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시각적 문해력의 향상과 상상력의 통합적인 계발에 도움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즐거운 마음으로 교수⋅학습에 임하고 몰입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상상력을 펼쳐볼 수 있는 경험과 변화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bout a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utilizing pictures book concerning the elementary arts curriculum. In this thesis, it is analyzed the modified elementary arts curriculum in 2007. In addition, it is presented how the purpose of arts appreciation has been changed by studying literatures and earlier researches. As a result, more appropriate and understandable teaching methods can be made for the new elementary arts curriculum. Next, the concept of Hermeneutics Approach and professor learning are explained. This aimed for better comprehens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Lastly, the teaching philosophy of this study is searched and answered by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thods of arts appreciation.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key factor at this stage of Hermeneutics Approaches.
    First, the meaning of Hermeneutics Approaches is examined. It helps children to build a bridge between life and knowledge by means of conversation, which enriche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It also suggests a vision to the truth and leads the premature to realize the real world around them. Second, the concept of pictures book, the experiences and appreciation of picture and text, the utilization of pictures book as a professor learning channel have been explored. All the points are closely examined as a view of elementary arts curriculum. Texts within a pictures book are generally beautiful, pictorial and containing culture of children. They are also making children wonder and be curious.
    This thesis emphasizes the values of conversation and culture as characteristics of an arts curriculum, which is important to declare that arts is not only an expression channel but also a channel between human and human, and other media. This point of view is based on the fundament of Hermeneutics Approaches of conversation centered teaching philosophy. This study examines three characteristics of art appreciation and professor learning when it comes to Hermeneutics Approaches. First, children as readers. Second, pictures book as art experiences. And lastly, teachers as Hermes.
    A model of professor learning within arts appreci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 experiment of this arts appreciation started from simple question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arts became deeper gradually through reading. The first stage of the experiment was limited to intuitive reading. But after all, the contents of the text connected to the individuals’ experiences, and at the e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arts appreciation was witnessed. Through this stepwise experimen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fessor learning.
    The analysis and conclusion of professor learning in practice are presented next. It is shown that children has improved their ability to imagine as well as visual understanding through professor learning. Few examples are presented in the chapter. In addition, most of children who attended to the experiment named that the arts appreciation class had helped them. They mentioned that they enjoyed the last stage of the professor learning, which they expressed their imagination come from the pictures book. This proves that <Teaching method of Hermeneutics Approaches utilizing pictures book> can successfully improve children’s integration of imagination as well as their visual literacy. Since most of the children who attended the experiment enjoyed the professor learning class and they could also experience their imagination to grow in their mind during the experiment.
    Lastly, further studies of professor learning, such as case studies or deeper researches on pictures book in practical elementary arts curriculum are suggested. Development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ontinuous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rts appreciation are also recomm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