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모형 관점에서 그림책 활용 교육프로그램 기획 연구 -<우리는 학교에 가요> 그림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Utilizing Picture Books in Terms of Creativity System Model of Csikszentmihalyi -Focused on Picture Book-)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14.06
12P 미리보기
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모형 관점에서 그림책 활용 교육프로그램 기획 연구 -&lt;우리는 학교에 가요&gt; 그림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0권 / 2호 / 175 ~ 186페이지
    · 저자명 : 박영선

    초록

    아동문화콘텐츠 중에서 그림책은 효과적인 정보 전달과 스토리 전달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과예술적 표현으로 아동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그림책은 체험하기 어려운 경험을 간접경험하며 상상력을길러주기도 하고,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정서적 접근을 하며 통합적인 문화예술 교육이 가능한 매체이다.
    이러한 그림책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확대되고 있다.
    그림책은 아동의 지적 발달 기능과 정서적 발달 기능을 개발하고, 아동과 사회의 의사소통 역할을 하며, 인지적 감성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문에 아동교육에서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교육프로그램과 연계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림책의 이해가 부족하여 그림책의 내용의 줄거리만을 전달하는 교육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현실에서 아동의창의성 증진을 위한 그림책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내용전달이 목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교사가 그림책을 이해하고 그 그림책을 활용하여 통합문화예술교육방법으로 아동에게 다양한 경험을 통한 문화적 자극을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요인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의 중요성을파악한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시스템 모형을 고찰하고, 아동이 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를따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현하도록<우리는 학교에 가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기획 연구에 그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교사가 그림책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통합적 문화예술 교육방법과 활동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 상호소통이 이루어지며 구성될 때 아동에게 직접적 간접적 경험을다양하게 유도할 수 있었다. 아동의 국내외 창의성 개발 교육프로그램과 그림책과 관련한 조사 자료와 네트워크 검색, 단행본, 표본조사, 관련 연구 영역의 연구논문,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가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성 개발의 효과적인교육프로그램 기획 연구 자료를 제공하여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그림책 활동 교육프로그램 영역에 확장하는 기획방법과 범위를 전망해본다.

    영어초록

    Picture books among children's cultural content snot only delivers effective information and stories but provides happiness to the children with creative contents planning and artistic expressions. The picture book allows an indirect experience of experiences which are difficult to experience with growth of imagination, and takes emotional approaches rather than fragmentary knowledge, and it is the medium that enables the education of integrated cultural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n such picture books is expanding. The picture book develops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unction of children and plays the role of communication between children and society and playsan important role in cognitive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occupies a large area in the children's education and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many educational programs. But,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picture books, in the reality of showing limits of educational program that only delivers the summary of picture book contents, the development o f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picture books for enhanc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induces cultural stimulation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s to the children not just as an educational program but as an integrated cultural art education by utilizing the picture book which is understood by theteacher. For the scop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 creative system model of Csikszentmihalyi which have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factors on individuals and for the children to express the creativity based on their experiences according to an effective instruction of teachers, the study was focused on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utilizing the picture book called <we go toschool>. A literature survey was progressed on study papers, book publications, etc, in the areas of study related to network search, books, sample surveys, domestic and foreign creativ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and study materials related to picture books.
    Through this study, by providing study materials on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utilizing picture books, a planning method and the scope that expands into thearea of picture book activity educational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can be ex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