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생태그림책의 발전 양상과 의의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Ecological Picture Books in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3.07
28P 미리보기
한국 생태그림책의 발전 양상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46권 / 1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권혁준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발간된 생태그림책의 발전 양상을 살피고, 생태비평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의의와 문제점을 논의하고 향후 생태그림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에 생태그림책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전반기 무렵이다. 초기 생태그림책들은 꽃, 풀, 물고기, 그리고 곤충과 같은 자연에 대한 상세한 그림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책은 사실을 진실하고 아름답게 기술했고, 삶의 성장 과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자연 친화적인 태도를 발전시켰지만,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성찰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들을 묘사하거나 멸종된 물고기와 동물들의 슬픔을 묘사한 그림책들이 다큐멘터리 형태로 출판되었다. 인간은 자연과 함께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지만,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어필할 만큼 재미있지 않았다.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표현한 그림책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 도시의 급속한 확장과 자연 오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는 그림책이 등장했고, 자연을 꿈꾸는 도시인에 대한 그림책도 출판되었다. 이 책들은 독자들이 환경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해주지만, 계몽성이 강하여 서사가 빈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2010년대에는 다양한 생태 그림책들이 출판되었으며, 이 시기에 출판된 생태 그림책의 세 가지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그림책들은 인간의 탐욕이 자연을 파괴했다고 비난한다: 결국 인간을 추방하고마는 플라스틱으로 뒤덮인 섬, 강물에 살던 조류는 인간을 떠나게 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사람들은 그들이 전 세계 생태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두 번째는 동물 권리를 주제로 한 그림책이다. 세 번째, 최근의 생태 그림책은 환경 파괴를 보고하는 것뿐만 아니라 파괴된 자연 환경을 복원하고 자연과 인간의 평화로운 공존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의 생태그림책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의 삶을 추구하는 생태이념에 충실한 작품을 제작해야 하며, 사람들과 자연 사이의 활동과 조화를 보여줌으로써 자연을 복원하는 이미지를 제시해야 한다. 그림책 작가들이 명심해야 할 또 다른 과제는 생태문학의 개념을 폭넓게 인식하여 장애인, 노인, 어린이, 여성, 외국인을 포용하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생태적 그림책이 독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작가들이 생태적 이념과 예술성, 흥미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그림책을 창작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recent ecological picture books published since 1990 were analyzed in terms of ecological criticism, its significance and problem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cological picture books. Ecological picture books began to appear in Korea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1990s. Early ecological picture books show detailed pictures of nature, such as flowers, grass, fish, and insects. Most books described facts truthfully and beautifully. It developed a nature-friendly attitude to children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process of life's growth, without the appear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Since the late 1990s, picture books depicting people living with nature or the sentimental sadness of extinct fish and animals have been published in documentary form. It conveyed the message that humans should live with nature, but the story was not interesting enough to appeal to children.
    Picture books expressing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began to appear in the early 2000s. Picture books criticizing social problems such as the rapid expansion of the city and natural pollution have emerged, and picture books about urban people dreaming of nature have also been published. These books allowed readers to recognize and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s, but there was a narrative problem due to its strong enlightenment.
    In the 2010s, various ecological picture books were published, and three trends in ecological picture boo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can be identified. First, picture books accuse human greed of destroying nature: plastic-covered islands that eventually expel humans, algae that live in rivers leave humans, and environmental polluters warning that they will destroy ecosystems around the world. The second is a picture book on animal rights. Third, recent ecological picture books aim not only to report environmental destruction, but also to restore the destroyed natural environment and seek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For Korean ecological picture books to take a leap forward, they must produce works faithful to the ecological ideology of pursuing human life in harmony with nature, and present images of restoring nature by showing activities and harmony between people and nature. Another task that picture book writers should keep in mind is to recognize the concept of ecological literature so that they can present a vision that embraces and allow readers to also recognise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women, and foreigners. Finally, for ecological picture books to be well received by readers, writers must create picture books that can harmonize ecological ideology, artistry, and inte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