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교를 위한 본문의 해석학적 스윙(swing)의 실행에 관한 연구: 창8:21-22, 9:8-17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acticing the Hermeneutical Swing of Nancy Lammers Gross for Preaching on Genesis 8:21-22,9:8-17)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6 최종저작일 2023.11
27P 미리보기
설교를 위한 본문의 해석학적 스윙(swing)의 실행에 관한 연구: 창8:21-22, 9:8-17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7호 / 35 ~ 61페이지
    · 저자명 : 최진봉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의 전유의 방법론인 ‘해석학적 스윙’(hermeneutical swing)을 설교를 위한 본문읽기에 실행해 옮기려는 연구이다. 낸시 라머스 그로스(Nancy Lammers Gross)는 대표적인 리꿰리안(Ricoeurian) 학자로서 설교자가 성서본문을 읽어내는 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무엇보다, 그녀는 설교자의 본문에 대한 이해가 인지적 차원을 넘어 존재론적 ‘전유’(Aneigung; appropriation)의 차원으로 향하는 해석의 과정에 관심을 갖고 그 과정에서 무엇이 어떻게 발생하며, 그 과정이 설교를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찾아내려 한다. 그로스의 관점은 두 가지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그것은 먼저,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나 폴 리꾀르(Paul Ricoeur)의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al circle)이 설교와의 직접적인 연결성을 두지 않는데 반해, 그로스는 해석학적 순환을 설교를 위한 본문읽기 방법론으로 제시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그런 점에서 그녀의 해석학적 스윙은 설교가 설교자와 설교회중으로 하여금 성서가 드러내는 복음을 전유하도록 돕는 설교학적 방법론으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위한 논자의 관심은 그로스의 해석학적 스윙이 설교로 연결되기 위하여, 본문읽기 과정에서 성서본문과 설교자, 또는 성서본문과 설교회중 간의 해석학적 순환이 어떤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지를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설교가 해석학적 순환을 메시지 창안과 전유를 위한 방법론으로 취할 수 있음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해석학과 설교학의 관계를 정립할 것이다. 이어 가다머와 리꾀르에 기초한 해석학적 순환과 그것의 또 다른 개념인 해석학적 ‘아치’(hermeneutical arch)를 소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중심과제로서 해석학적 스윙을 사용한 본문읽기를 창8:21-22,9:8-17을 본문으로 실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omiletically implement Nancy Lammers Gross’s ‘hermeneutical swing’ theory. Gross is a New Testament scholar and representative Ricoeurian scholar who carefully observes the process by which preachers read the biblical text. Above all, she is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which the preach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goes beyond the cognitive level to the level of ontological 'appropriation' (Aneigung; appropriation), and what and how occurs in that process. In this respect, her perspective is distinctive in two ways. First, while philosophical hermeneutics, which is in line with the 'hermeneutical circle' of Hans-Georg Gadamer and Paul Ricoeur, are methodologies independent of preaching, Gross is to present the hermeneutical cycle as a methodology that is not separate from preaching. Second, in this respect, her hermeneutical swing shows that sermons can be embodied in a homiletical methodology that helps the sermon become an exercise of appropriation of the biblical gospel. The author's interest in this study is to connect Gross's hermeneutical swing to sermons to practically confirm how the hermeneutical cycle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the preacher, or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the congregation, constitutes and leads the sermon.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hermeneutics and homiletics are interconnected in methodology by confirming how it is implemented in the sermon when the sermon takes Gross's hermeneutical swing as a methodology for sermon composition. To this end, the author will first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homiletics. Next, we will look at the hermeneutical circle based on Gadamer and Ricoeur and its developed concept, the hermeneutical arch, and introduce Gross's hermeneutical swing, which is another variation of i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practical methodology. Lastly, as the central task of this study, we attempt to implement Gross's hermeneutical swing homiletically. To this end, this paper attempts a hermeneutical swing based on Genesis 8:21-22, 9:8-17 and introduces the structure of the sermon accordingly.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o propose a homiletic methodology that helps the preacher and the congregation appropriate the gospel revealed through circular dialogue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the preac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